실물-체감경기 커지는 '엇박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출 등 회복세…소비는 싸늘
올 들어 반도체 업황 회복에 힘입어 수출을 비롯한 실물경제 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민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여전히 싸늘하다.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과 건설경기 침체가 겹쳐 체감경기로 온기가 확산하는 게 더디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 통계청의 경기순환시계에 따르면 핵심 10개 지표 중 서비스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수출액 등 세 개 지표가 올 1월 기준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 소매판매액지수, 수입액, 기업경기실사지수, 소비자기대지수 등 네 개 지표는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 하강·둔화 국면에 들어선 지표는 설비투자지수, 취업자 수, 광공업생산지수 등 세 개에 그쳤다.
경기순환시계는 대표적 경기지표 10개가 각각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경기 순환 국면 중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작년 10월만 해도 상승·회복 국면에 놓인 지표는 네 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같은 해 11월 다섯 개에 이어 12월 여덟 개로 늘어나는 등 경기 흐름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도체 업황 회복에 힘입어 전(全)산업 생산지수는 작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석 달 연속 전월 대비 ‘플러스’를 기록했다. 생산이 석 달 이상 연속 증가한 것은 2022년 1월 이후 24개월 만에 처음이다.
내수경기 등 국민 실생활과 직결된 체감경기 부문에서는 싸늘한 기류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월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불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15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민간소비 둔화와 건설투자 부진 등으로 부문별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 1월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불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문소매점(-11.4%), 슈퍼마켓 및 잡화점(-15.2%) 등에서 판매 감소폭이 컸다. 2월 들어서도 금리에 민감한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는 전월 대비 15.2% 급감했다. 고금리로 인한 이자 부담과 고물가에 따라 가계 실질 소득이 줄면서 민간 소비 여력이 크게 위축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과일을 비롯한 식료품 물가 급등은 민간소비를 짓누르는 원인으로 꼽힌다.
내수의 또 다른 축인 설비투자도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작년 10월(-1.9%), 11월(-2.0%) 감소하다가 같은 해 12월 2.3% 증가세로 돌아선 설비투자는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감소폭은 6개월 만의 최대치다. 특히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신청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터진 가운데 건설투자 감소가 가뜩이나 싸늘한 체감경기를 더 위축시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내수 회복을 위해 올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389조원의 재정을 투입할 방침이다. 특히 건설투자를 보강하기 위한 세부 방안을 이르면 이번주 발표할 예정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수출과 내수의 균형있는 경제 회복을 위해 내수의 주요 축인 건설·지역·기업투자 등 분야별 투자 활성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정부로서도 당장 경기를 활성화할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일각에선 총선이 끝난 후 조기 경기 회복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이에 대해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올해 석 달도 안 된 시점에 추경을 언급하기는 너무 이르다”며 “올 하반기부터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체감경기에도 온기가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18일 통계청의 경기순환시계에 따르면 핵심 10개 지표 중 서비스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수출액 등 세 개 지표가 올 1월 기준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 소매판매액지수, 수입액, 기업경기실사지수, 소비자기대지수 등 네 개 지표는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 하강·둔화 국면에 들어선 지표는 설비투자지수, 취업자 수, 광공업생산지수 등 세 개에 그쳤다.
경기순환시계는 대표적 경기지표 10개가 각각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경기 순환 국면 중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작년 10월만 해도 상승·회복 국면에 놓인 지표는 네 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같은 해 11월 다섯 개에 이어 12월 여덟 개로 늘어나는 등 경기 흐름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도체 업황 회복에 힘입어 전(全)산업 생산지수는 작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석 달 연속 전월 대비 ‘플러스’를 기록했다. 생산이 석 달 이상 연속 증가한 것은 2022년 1월 이후 24개월 만에 처음이다.
내수경기 등 국민 실생활과 직결된 체감경기 부문에서는 싸늘한 기류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월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불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15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민간소비 둔화와 건설투자 부진 등으로 부문별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내수 살리기 고민하는 정부…건설경기대책 조만간 발표
정부는 산업활동에서 높은 반도체 의존도가 수출·내수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반도체발(發) 경기 개선과 체감경기 회복에 적잖은 괴리가 있다는 뜻이다. 전·후방 산업 연관 효과가 큰 자동차·조선업 등과 달리 반도체는 성장과 고용 모두 파급 효과가 작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실제로 지난 1월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불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문소매점(-11.4%), 슈퍼마켓 및 잡화점(-15.2%) 등에서 판매 감소폭이 컸다. 2월 들어서도 금리에 민감한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는 전월 대비 15.2% 급감했다. 고금리로 인한 이자 부담과 고물가에 따라 가계 실질 소득이 줄면서 민간 소비 여력이 크게 위축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과일을 비롯한 식료품 물가 급등은 민간소비를 짓누르는 원인으로 꼽힌다.
내수의 또 다른 축인 설비투자도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작년 10월(-1.9%), 11월(-2.0%) 감소하다가 같은 해 12월 2.3% 증가세로 돌아선 설비투자는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감소폭은 6개월 만의 최대치다. 특히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신청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터진 가운데 건설투자 감소가 가뜩이나 싸늘한 체감경기를 더 위축시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내수 회복을 위해 올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389조원의 재정을 투입할 방침이다. 특히 건설투자를 보강하기 위한 세부 방안을 이르면 이번주 발표할 예정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수출과 내수의 균형있는 경제 회복을 위해 내수의 주요 축인 건설·지역·기업투자 등 분야별 투자 활성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정부로서도 당장 경기를 활성화할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일각에선 총선이 끝난 후 조기 경기 회복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이에 대해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올해 석 달도 안 된 시점에 추경을 언급하기는 너무 이르다”며 “올 하반기부터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체감경기에도 온기가 확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