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후 일할 수 있는 인구 줄어든다…2%대 성장 지속 '빨간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2∼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고령화에 '노동력 공급' 제약
경제활동인구, 2027년 정점 찍고 2028년 본격 감소
"2032년까지 추가 89만 4천명 필요"
경제활동인구, 2027년 정점 찍고 2028년 본격 감소
"2032년까지 추가 89만 4천명 필요"
저출생·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오는 2028년부터는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가 모두 줄기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연 2%대 수준의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선 2032년까지 89만명이 넘는 인력이 더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9일 향후 인구 전망과 산업별 전망 등을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의 '중장기(2022∼2032년) 인력수급 전망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을 발표했다.
우선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생산가능인구 중 일할 수 있는 능력과 취업 의사를 갖춘 사람)는 2022∼2032년 31만6천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과거 10년간(2012∼2022년) 증가 폭 314만 명의 10분의 1 수준이다.
하지만 2027년 2,948만 5천명으로 정점을 찍고, 2028년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서 2032년엔 2,923만8천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부터 2032년까지 취업자 수는 30만9천명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역시 2027년 정점을 찍고 2028년부터는 노동력 공급이 부족해져 감소로 전환한다. 고용정보원은 고령층 비중이 높아지면서 노동 공급에 제약 여건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6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같은 기간 201만9천 명 증가하며 전체 경제활동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도 2022년 11.6%에서 2032년 18.4%까지 올라가게 된다.
경제활동참가율은 2022년 63.9%에서 2032년 63.1%로 후퇴할 전망인데, 특히 청년층(15∼29세)의 경우 49.8%에서 48.1%로 하락 폭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고령화와 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산업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도소매업, 제조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서비스직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고, 판매직,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 등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같은 노동력 공급 감소는 경제성장 지속에는 큰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고용연구원은 향후 10년간 연 2.1%(2022∼2027년)∼1.9%(2028∼2032년) 수준의 경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체 취업자 수 전망치의 약 3% 수준인 89만4천명의 추가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체 추가 필요인력은 향후 10년간 고용 성장세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되는 보건복지서비스업이 13만8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조업(13만7천명), 도소매업(11만8천명) 순이다.
공학 전문가와 정보통신(IT) 전문가 비중이 높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도 8만8천명 부족한 것으로 추산됐다.
직업별로는 전문가와 관련 종사자, 사무종사자 등 비교적 고숙련 직업군의 추가 인력 수요가 컸다.
고용정보원은 생산인구 감소에 대응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하고, 정밀한 고용 수요 예측을 통해 공급 확충, 숙련도 제고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나갈 것을 제언했습니
고용정보원은 청년을 위한 맞춤형 취업지원, 여성을 위한 일·육아 병행 고용환경 구축, 고령자를 위한 계속고용 기반 조성 등 대상별로 차별화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또 기술 진보에 따라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제조, 전문과학 등 분야의 교육·양성·훈련을 강화하고, 반대로 수요 감소가 예상되는 분야의 중·저숙련 직종에선 업종 전환, 훈련 등의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노동력 부족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산업계의 외국인 노동자 도입 요구도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중 고용정보원장은 "앞으로 공급 제약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에 따라 기업 구인난이 심화됨을 시사하고 있는 만큼 우리 사회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
연 2%대 수준의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선 2032년까지 89만명이 넘는 인력이 더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9일 향후 인구 전망과 산업별 전망 등을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의 '중장기(2022∼2032년) 인력수급 전망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을 발표했다.
우선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생산가능인구 중 일할 수 있는 능력과 취업 의사를 갖춘 사람)는 2022∼2032년 31만6천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과거 10년간(2012∼2022년) 증가 폭 314만 명의 10분의 1 수준이다.
하지만 2027년 2,948만 5천명으로 정점을 찍고, 2028년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서 2032년엔 2,923만8천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부터 2032년까지 취업자 수는 30만9천명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역시 2027년 정점을 찍고 2028년부터는 노동력 공급이 부족해져 감소로 전환한다. 고용정보원은 고령층 비중이 높아지면서 노동 공급에 제약 여건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6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같은 기간 201만9천 명 증가하며 전체 경제활동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도 2022년 11.6%에서 2032년 18.4%까지 올라가게 된다.
경제활동참가율은 2022년 63.9%에서 2032년 63.1%로 후퇴할 전망인데, 특히 청년층(15∼29세)의 경우 49.8%에서 48.1%로 하락 폭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고령화와 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보건복지서비스업에서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산업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도소매업, 제조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서비스직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고, 판매직,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 등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같은 노동력 공급 감소는 경제성장 지속에는 큰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고용연구원은 향후 10년간 연 2.1%(2022∼2027년)∼1.9%(2028∼2032년) 수준의 경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체 취업자 수 전망치의 약 3% 수준인 89만4천명의 추가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체 추가 필요인력은 향후 10년간 고용 성장세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되는 보건복지서비스업이 13만8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조업(13만7천명), 도소매업(11만8천명) 순이다.
공학 전문가와 정보통신(IT) 전문가 비중이 높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도 8만8천명 부족한 것으로 추산됐다.
직업별로는 전문가와 관련 종사자, 사무종사자 등 비교적 고숙련 직업군의 추가 인력 수요가 컸다.
고용정보원은 생산인구 감소에 대응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하고, 정밀한 고용 수요 예측을 통해 공급 확충, 숙련도 제고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나갈 것을 제언했습니
고용정보원은 청년을 위한 맞춤형 취업지원, 여성을 위한 일·육아 병행 고용환경 구축, 고령자를 위한 계속고용 기반 조성 등 대상별로 차별화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또 기술 진보에 따라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제조, 전문과학 등 분야의 교육·양성·훈련을 강화하고, 반대로 수요 감소가 예상되는 분야의 중·저숙련 직종에선 업종 전환, 훈련 등의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노동력 부족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산업계의 외국인 노동자 도입 요구도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중 고용정보원장은 "앞으로 공급 제약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에 따라 기업 구인난이 심화됨을 시사하고 있는 만큼 우리 사회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