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5천억 넘어선 저축은행…안전한가요? [슬기로운 금융생활]
"저축은행 대규모 적자인데…돈 맡겨도 안전한가요?"



저축은행업권의 지난해 영업실적이 발표되면서, 예금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저축은행업권에 큰 폭의 손실이 난 탓입니다. 적자가 난데다 연체율은 지속 상승세인데, 돈을 믿고 맡겨도 될까요?

◆ 9년만에 적자…들여다보니 '충당금 탓'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저축은행은 당기순손실 5,559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습니다. 저축은행업계는 대규모 구조조정 사태 이후 2015년부터 8년간 흑자를 유지했지만 지난해 고금리 여파가 덮치며서 9년만에 적자를 냈습니다.

저축은행 수익성이 심각하게 떨어진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대손충당금 적립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손충당금은 만약의 부실에 대비해 금융사들이 쌓아두는 적립금인데, 저축은행업계는 지난해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3조9천억 원의 충당금을 적립했습니다.

지난 2020년 저축은행업권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5천억 원에서 2021년 1조7천억원 수준이었지만 지난 2022년 2조6천억 원에서 지난해에는 약 4조 원까지 늘렸습니다. 여기에 고금리 여파로 인한 이자비용이 2조4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약 1.8배 증가했습니다.

◆ 연체율 급증했지만…"과거 수준 하회"



급증한 연체율도 예금자들의 불안요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2023년말 저축은행업계의 총 연체율은 6.55%로 전년말보다 3.14%p 상승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은 경기 침체시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인 서민, 소상공인을 주거래 대상으로 하고 있고,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 등에 따라 부동산PF 대출 영향으로 연체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 이 기간 기업대출은 8.02%로 전년말보다 5.12%p, 가계대출은 5.01%로 0.27%p 각각 올랐습니다. 또한 연체된 대출이 늘어나는 가운데 저축은행 자체 위험자산 축소 움직임으로 전체 여신잔액이 감소하면서 분모가 줄어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주기도 했습니다.

지난해부터 급속도로 연체율이 오르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과거 저축은행 구조조정 사태 수준을 크게 하회하고 있고,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해 대손충당금 적립을 크게 늘린 만큼 소실흡수능력은 충분하다는 설명입니다. 대규모 저축은행 구조조정 사태가 있었던 2011년 6월말 기준 연체율은 무려 25.1% 였습니다.

◆ "뱅크런 발생시 중앙회·한은 유동성 지원"



예금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바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 지난해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했었던 일명 '뱅크런'입니다. 대규모 예금이 순식간에 빠져나가게 될 경우, 금융사는 유동성 위기에 처할 수 있습니다. 금융사에 맡겨뒀던 돈을 제때 찾지 못하는 심각한 위기가 발생할 수 있겠죠.

다만 2023년말 기준 저축은행업계의 유동성 비율은 192.07%로 법정기준인 100%를 크게 웃돕니다. 만약을 대비해 쌓은 대손충당금적립률 역시 이 기간 113.89%로 모두 법정기준을 초과해 적립 중입니다. 때문에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게 당국의 설명입니다.

만약 예금자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예상치 못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한다면? 먼저 저축은행 자체 유동성으로 대응하고, 유동성이 부족하다면 저축은행중앙회 유동성이 공급됩니다. 또한 시중은행과 체결한 당좌대출 등 외부 크레딧라인, 더 나아가 한국은행의 유동성 지원을 통해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고 업계는 설명합니다.

실제 한국은행은 유사시 저축은행중앙회를 통해 개별 저축은행에 대한 유동성 지원방안을 마련했고, 최근에는 RP를 통한 유동성 공급도 추진 중입니다. 이밖에 저축은행업계는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 올 상반기 중 적극적인 부실채권 매각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적자 5천억 넘어선 저축은행…안전한가요? [슬기로운 금융생활]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