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대통령 '바이오 이니셔티브', 소부장 경쟁력이 관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충북 청주에서 연 24번째 민생토론회를 통해 첨단바이오를 반도체에 이은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바이오 파운드리 등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기존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세계적 수준의 ‘K바이오 스퀘어’로 혁신하는 동시에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육성으로 클러스터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정부는 이를 구체화한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를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세계 바이오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약 2600조원에 달해 반도체 시장의 3배 이상이다. 더구나 바이오는 인공지능(AI)과 함께 미래를 바꿀 ‘게임체인저 기술’로 통한다. AI 시대 반도체 분야 리더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금이라면 생명과학·공학 전공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을 정도다. 첨단바이오를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키워내는 데 국가 차원의 투자와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이유다. 윤 대통령은 ‘글로벌 6대 바이오 강국 도약’을 천명했는데, R&D 능력이 관건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춤형 신약 기술은 선도국인 미국 대비 70% 수준으로 6년, 일본에는 3년, 중국에도 1년의 기술 수준 격차가 있다. 이런 상황에 정부가 2025학년도 의과대학 2000명 증원과 학교별 배정을 확정한 가운데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증원이 빠진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바이오 소부장의 경쟁력 확보도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소부장 국산화 비율은 6%대에 불과하다. 바이오시밀러 약품의 핵심 원료로 동물세포 배양에 필요한 배지와 바이오의약품 정제에 사용하는 레진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해외로부터 원재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제조상 치명적 리스크에 직면하는 데다 안정적인 수익률도 담보하기 어렵다. 국산화 소부장의 공급을 가로막는 높은 진입장벽과 임상 규제 역시 선결 과제다.
세계 바이오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약 2600조원에 달해 반도체 시장의 3배 이상이다. 더구나 바이오는 인공지능(AI)과 함께 미래를 바꿀 ‘게임체인저 기술’로 통한다. AI 시대 반도체 분야 리더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금이라면 생명과학·공학 전공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을 정도다. 첨단바이오를 제2의 반도체산업으로 키워내는 데 국가 차원의 투자와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이유다. 윤 대통령은 ‘글로벌 6대 바이오 강국 도약’을 천명했는데, R&D 능력이 관건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맞춤형 신약 기술은 선도국인 미국 대비 70% 수준으로 6년, 일본에는 3년, 중국에도 1년의 기술 수준 격차가 있다. 이런 상황에 정부가 2025학년도 의과대학 2000명 증원과 학교별 배정을 확정한 가운데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증원이 빠진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바이오 소부장의 경쟁력 확보도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소부장 국산화 비율은 6%대에 불과하다. 바이오시밀러 약품의 핵심 원료로 동물세포 배양에 필요한 배지와 바이오의약품 정제에 사용하는 레진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해외로부터 원재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제조상 치명적 리스크에 직면하는 데다 안정적인 수익률도 담보하기 어렵다. 국산화 소부장의 공급을 가로막는 높은 진입장벽과 임상 규제 역시 선결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