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탄소중립 대응에 '투자 리스크' 걸림돌…지원책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상의, 온실가스 다배출기업 390개사 조사…89.1% "투자 리스크 높아"
국내 기업들이 탄소중립에 대응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이와 관련한 투자 리스크가 높아 망설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및 목표관리제 대상인 국내 온실가스 다배출기업 390개사를 대상으로 '탄소중립 대응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탄소중립 투자 리스크에 대해 71.7%가 '높다', 17.4%가 '매우 높다'고 응답했다고 27일 밝혔다.
리스크가 '낮다'는 응답은 10.9%에 그쳤다.
탄소중립 추진이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60.3%로 부정적 답변(39.7%)보다 많았다.
다만 긍정 답변 비율은 전년(68.8%)보다 하락했다.
실제 온실가스 감축 투자를 추진 중이라고 답한 기업은 38.2%였다.
35.4%는 투자를 계획 중이며, 26.4%는 투자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투자 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2.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감축 수단·기술 부족'(30.5%), '투자 수익 불확실'(28.8%)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투자 수익 불확실'(35.3%)을, 중견기업은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6.4%)을, 중소기업은 '감축 수단·기술 부족'(45.0%)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탄소중립 이행 여건과 정부 지원 수준이 주요국보다 뒤처진다는 평가도 나왔다.
항목별로는 '무탄소에너지 인프라'(72.8%)가 가장 미비하다는 반응이었고, '보조금, 세제혜택 등 재정적 지원'(67.2%), '탄소중립 혁신기술 연구개발(R&D) 지원'(60.8%), '탄소중립 관련 법·제도'가 미비하다는 답변도 많았다.
전의찬 세종대 교수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연합(EU)의 그린딜에 이어 일본도 제조업의 그린산업 전환을 목표로 그린트랜스포메이션(GX) 정책을 수립해 10년간 민관 합산 150조엔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며 "주요국은 대규모 국가 예산을 그린산업으로의 구조 전환에 투입해 자국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 중점 과제로 '세제, 자금 등 감축투자 지원'(34.7%), '무탄소에너지 공급 인프라 구축'(22.3%), '제도 합리화'(18.2%), '탈탄소 혁신기술 개발'(15.7%) 등을 꼽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미래의 불확실성과 투자 리스크 때문에 탄소중립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려는 기업들의 의욕이 꺾이지 않도록 탄소중립 산업전환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직접투자 및 세액공제 확대, 무탄소에너지 인프라 확충 등 종합적인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내 기업들이 탄소중립에 대응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이와 관련한 투자 리스크가 높아 망설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및 목표관리제 대상인 국내 온실가스 다배출기업 390개사를 대상으로 '탄소중립 대응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탄소중립 투자 리스크에 대해 71.7%가 '높다', 17.4%가 '매우 높다'고 응답했다고 27일 밝혔다.
리스크가 '낮다'는 응답은 10.9%에 그쳤다.
탄소중립 추진이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60.3%로 부정적 답변(39.7%)보다 많았다.
다만 긍정 답변 비율은 전년(68.8%)보다 하락했다.
실제 온실가스 감축 투자를 추진 중이라고 답한 기업은 38.2%였다.
35.4%는 투자를 계획 중이며, 26.4%는 투자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투자 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2.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감축 수단·기술 부족'(30.5%), '투자 수익 불확실'(28.8%)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투자 수익 불확실'(35.3%)을, 중견기업은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6.4%)을, 중소기업은 '감축 수단·기술 부족'(45.0%)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탄소중립 이행 여건과 정부 지원 수준이 주요국보다 뒤처진다는 평가도 나왔다.
항목별로는 '무탄소에너지 인프라'(72.8%)가 가장 미비하다는 반응이었고, '보조금, 세제혜택 등 재정적 지원'(67.2%), '탄소중립 혁신기술 연구개발(R&D) 지원'(60.8%), '탄소중립 관련 법·제도'가 미비하다는 답변도 많았다.
전의찬 세종대 교수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연합(EU)의 그린딜에 이어 일본도 제조업의 그린산업 전환을 목표로 그린트랜스포메이션(GX) 정책을 수립해 10년간 민관 합산 150조엔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며 "주요국은 대규모 국가 예산을 그린산업으로의 구조 전환에 투입해 자국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 중점 과제로 '세제, 자금 등 감축투자 지원'(34.7%), '무탄소에너지 공급 인프라 구축'(22.3%), '제도 합리화'(18.2%), '탈탄소 혁신기술 개발'(15.7%) 등을 꼽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미래의 불확실성과 투자 리스크 때문에 탄소중립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려는 기업들의 의욕이 꺾이지 않도록 탄소중립 산업전환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직접투자 및 세액공제 확대, 무탄소에너지 인프라 확충 등 종합적인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