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국채지수 'WGBI' 편입 불발…9월엔 편입 기대(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FTSE러셀, 韓 관찰대상국 유지…"의미있는 진전, 계속 모니터링"
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에 이번에도 편입되지 못했다.
WGBI를 관리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27일(현지시간)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를 발표하면서 한국의 국채지수 관찰대상국(Watch List)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세계국채지수 편입을 유보한다는 의미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접근성 등을 따져 통상 3월과 9월 WGBI 편입 여부를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FTSE 러셀은 "한국은 2022년 9월 WGBI 편입 고려를 위한 관찰대상국에 올랐다"며 "한국 정부는 국제 투자자들의 국채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계속 진전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접근성 개선 노력의 사례로 ▲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인 유로클리어·클리어스트림과 국채통합계좌 구축 추진 ▲ 외국 금융기관(RFI)의 한국시장 참여 허용 ▲ 외환시장 제도개선 등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같은 제도 개선이 하반기 본격화하는데다, 관찰대상국 등재 이후 최종 편입까지 통상 2년가량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9월에는 편입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시각이 흘러나온다.
FTSE 러셀은 "지난 6개월간 의미있는 진전이 이뤄졌다"며 "오는 9월 국가분류까지 한국 채권시장의 긍정적인 개선을 지속 모니터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국 가운데 WGBI에 편입되지 않은 나라는 한국과 인도뿐이다.
인도 역시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했다.
WGBI에는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 24개국 국채가 편입돼 있으며, 추종 자금은 약 2조5천억 달러(3천300조원대)로 추산된다.
우리나라 국채가 WGBI에 편입되면, 이들 외국계 자금이 국채 시장에 유입되고 국채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WGBI에 편입 시 국내 국채 시장에 600억달러(80조원)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WGBI를 관리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27일(현지시간)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를 발표하면서 한국의 국채지수 관찰대상국(Watch List)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세계국채지수 편입을 유보한다는 의미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접근성 등을 따져 통상 3월과 9월 WGBI 편입 여부를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FTSE 러셀은 "한국은 2022년 9월 WGBI 편입 고려를 위한 관찰대상국에 올랐다"며 "한국 정부는 국제 투자자들의 국채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계속 진전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접근성 개선 노력의 사례로 ▲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인 유로클리어·클리어스트림과 국채통합계좌 구축 추진 ▲ 외국 금융기관(RFI)의 한국시장 참여 허용 ▲ 외환시장 제도개선 등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같은 제도 개선이 하반기 본격화하는데다, 관찰대상국 등재 이후 최종 편입까지 통상 2년가량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9월에는 편입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시각이 흘러나온다.
FTSE 러셀은 "지난 6개월간 의미있는 진전이 이뤄졌다"며 "오는 9월 국가분류까지 한국 채권시장의 긍정적인 개선을 지속 모니터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국 가운데 WGBI에 편입되지 않은 나라는 한국과 인도뿐이다.
인도 역시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했다.
WGBI에는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 24개국 국채가 편입돼 있으며, 추종 자금은 약 2조5천억 달러(3천300조원대)로 추산된다.
우리나라 국채가 WGBI에 편입되면, 이들 외국계 자금이 국채 시장에 유입되고 국채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WGBI에 편입 시 국내 국채 시장에 600억달러(80조원)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