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릴스 못 멈춰"…어린이·청소년 경고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마트폰 이용 어린이 4명 중 1명은 과의존 위험군
!["틱톡·릴스 못 멈춰"…어린이·청소년 경고등](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B20231003065823723.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내용의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의 2023년도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는 스마트폰 이용량 조절 능력, 건강·일상생활 문제 발생 여부 등 스마트폰 이용 행태를 조사해 과의존 위험군 현황을 파악하는 국가승인 통계다. 전국 1만 가구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난해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3.1%로 전년(23.6%) 대비 0.5%포인트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만 3~9세 유·아동이 25%, 만 10~19세 청소년이 40.1%, 만 20~59세 성인이 22.7%, 60대가 13.5%였다.
또 온라인 동영상 이용자 중 73.5%가 1분 남짓 분량의 영상을 의미하는 '숏폼'을 이용하고 있으나, 숏폼 이용자 중 23%가 이용 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연령대 중 청소년(36.7%)이 해당 부분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승인통계이며 전국 1만5천 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서는 지난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76.9%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 종합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 정보화 접근 수준은 96.5%, 역량 수준은 65.1%, 활용 수준은 79%로 모두 전년 대비 0.5~1%포인트 상승했다.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도 고령층이 70.5%, 농어민이 79.5%, 장애인이 82.8%, 저소득층이 96.1% 순으로 나타나 모든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전년보다 0.5~0.8%포인트 향상됐다.
이어 웹 접근성 실태조사는 웹사이트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동산업과 숙박·음식점업 등 8개 업종의 웹사이트 1천개를 임의로 추출해 접근성 지침 준수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웹 접근성 전체 평균 접수는 65.8점으로 전년 대비 4.9점 향상됐다.
업종별로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금융 및 보험업' 분야 웹사이트가 7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동산업' 분야는 58.2점으로 가장 낮았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