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기 문화예술의 수도 대구, 한국전선문화관 개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쟁의 아픔 달래며 예술 논했던 공간 구(舊) 대지바 건물 매입해 조성
한국 전쟁 당시 피란 예술가들이 대구에서 꽃 피운 의미있는 전선문학과 음악 미술 등 전선문화의 기록을 담은 한국전선문화관이 28일 대구시 중구 향촌동에 문을 열었다.
대구광역시는 한국전쟁기 피란 문인들의 후원자 역할을 했던 구상 시인이 후배 문학가들과 자주 들러 전쟁의 아픔을 달래고 예술을 논했던 공간인 ‘대지바’를 2020년 철거 직전 매입해, 그 역사·문화적 가치를 살려 한국전선문화관으로 조성했다. 전선문화란 한국전쟁 당시 전국에서 몰려든 문화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통해 대구에서 꽃피운 독특하고 유일무이한 문화예술 장르다.
한국전선문화관은 ▷외부 전면·측면에 LED 미디어파사드를 설치해 전선문화를 대표하는 분야별 예술인들을 타이포그래피 영상으로 표현했다. 문학(박목월, 구상, 유치환, 박두진, 마해송, 조지훈),음악(김진균, 이경희, 하대응, 권태호), 미술(정점식), 무용(김상규), 연극(김동원)등이다.
1층 전시공간은 대구가 ‘최후의 방어지’로서 피란민의 도시가 된 배경을 연표 그래픽과 사진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미디어북, 빔프로젝터 등을 활용해 1950년대 ‘문인의 작업실’을 재현한 공간에서는 실사 크기 구상 시인의 종군작가단에 대한 설명을 직접 들어볼 수 있다.
2층 실감형 미디어아트룸은 1950년대 대지바를 재현한 공간으로 그 당시 대지바 분위기를 직접 느껴볼 수 있다. 북토크, 창작모임 활동이 가능하도록 가변형 공간 시스템을 마련했다.
김선조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한국전선문화관이 위치한 향촌동 일원은 한국전쟁이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당대 최고 예술인들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있는 곳이다”며 “이곳을 대한민국 전선문화와 근대문화의 상징적 거점공간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경묵 기자
대구광역시는 한국전쟁기 피란 문인들의 후원자 역할을 했던 구상 시인이 후배 문학가들과 자주 들러 전쟁의 아픔을 달래고 예술을 논했던 공간인 ‘대지바’를 2020년 철거 직전 매입해, 그 역사·문화적 가치를 살려 한국전선문화관으로 조성했다. 전선문화란 한국전쟁 당시 전국에서 몰려든 문화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통해 대구에서 꽃피운 독특하고 유일무이한 문화예술 장르다.
한국전선문화관은 ▷외부 전면·측면에 LED 미디어파사드를 설치해 전선문화를 대표하는 분야별 예술인들을 타이포그래피 영상으로 표현했다. 문학(박목월, 구상, 유치환, 박두진, 마해송, 조지훈),음악(김진균, 이경희, 하대응, 권태호), 미술(정점식), 무용(김상규), 연극(김동원)등이다.
1층 전시공간은 대구가 ‘최후의 방어지’로서 피란민의 도시가 된 배경을 연표 그래픽과 사진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미디어북, 빔프로젝터 등을 활용해 1950년대 ‘문인의 작업실’을 재현한 공간에서는 실사 크기 구상 시인의 종군작가단에 대한 설명을 직접 들어볼 수 있다.
2층 실감형 미디어아트룸은 1950년대 대지바를 재현한 공간으로 그 당시 대지바 분위기를 직접 느껴볼 수 있다. 북토크, 창작모임 활동이 가능하도록 가변형 공간 시스템을 마련했다.
김선조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한국전선문화관이 위치한 향촌동 일원은 한국전쟁이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당대 최고 예술인들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있는 곳이다”며 “이곳을 대한민국 전선문화와 근대문화의 상징적 거점공간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경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