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호, 3년 만에 무신사 대표 복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각자 대표 체제로 책임경영 강화
"C커머스 공세에 빠른 대응 필요"
온·오프라인 전략 진두지휘 할 듯
"C커머스 공세에 빠른 대응 필요"
온·오프라인 전략 진두지휘 할 듯
국내 최대 패션 플랫폼 무신사의 창업자 조만호 이사회 의장이 3년 만에 대표이사에 복귀했다. 최근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e커머스 공세가 거세지는 등 경영 환경이 급변하자 전면에 나서 온·오프라인 전략을 진두지휘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무신사는 29일 이사회를 열어 조 의장을 대표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이와 함께 조 대표와 한문일·박준모 등 3인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개편에 따라 한 대표는 글로벌·브랜드 사업을 맡는다. 국내외 투자 유치와 신사업 및 신진 브랜드 발굴, 지식재산권(IP) 사업 등을 추진한다. 박 대표는 무신사와 29CM의 플랫폼 사업을 이끌게 된다.
조 대표는 글로벌·브랜드 사업과 플랫폼 사업의 조율 및 유기적 성장을 이끈다. 이를 통해 사업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빠른 의사 결정과 실행력을 기반으로 성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중국 e커머스의 국내 시장 공략, 엔데믹 등 대내외 환경이 급변하며 패션 플랫폼업계가 전환기를 맞았다”며 “기민한 대응과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을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2021년 무신사가 여성 이용자에게만 할인쿠폰을 지급해 남녀 차별 논란 등이 일자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이사회 의장을 맡아 중장기 전략 수립 등에 관여하다가 이번에 전격 복귀했다. 조 대표의 복귀로 무신사의 신사업 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최근 무신사는 자체브랜드(PB)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을 늘리며 오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무신사는 2001년 조 대표가 고교 3학년 때 시작한 ‘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라는 커뮤니티에서 출발했다. 이후 길거리 패션과 스타일 트렌드를 소개하는 무신사 매거진을 발행했고, 2009년 상거래 기능을 도입해 현재의 무신사 스토어로 성장했다. 2013년 100억원에 불과하던 무신사의 거래액은 지난해 4조원을 돌파했다. 무신사는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083억원, 영업이익 32억원을 거뒀다. 작년 실적은 다음달 공시할 예정이다.
무신사는 국내 패션 시장의 중심축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옮겨 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진 디자이너·온라인 기반 브랜드를 내세워 유명 브랜드·백화점 중심으로 움직이던 패션업계의 판도를 바꿔 놓았다는 분석이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조 대표는 글로벌·브랜드 사업과 플랫폼 사업의 조율 및 유기적 성장을 이끈다. 이를 통해 사업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빠른 의사 결정과 실행력을 기반으로 성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중국 e커머스의 국내 시장 공략, 엔데믹 등 대내외 환경이 급변하며 패션 플랫폼업계가 전환기를 맞았다”며 “기민한 대응과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을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2021년 무신사가 여성 이용자에게만 할인쿠폰을 지급해 남녀 차별 논란 등이 일자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이사회 의장을 맡아 중장기 전략 수립 등에 관여하다가 이번에 전격 복귀했다. 조 대표의 복귀로 무신사의 신사업 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최근 무신사는 자체브랜드(PB)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을 늘리며 오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무신사는 2001년 조 대표가 고교 3학년 때 시작한 ‘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라는 커뮤니티에서 출발했다. 이후 길거리 패션과 스타일 트렌드를 소개하는 무신사 매거진을 발행했고, 2009년 상거래 기능을 도입해 현재의 무신사 스토어로 성장했다. 2013년 100억원에 불과하던 무신사의 거래액은 지난해 4조원을 돌파했다. 무신사는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083억원, 영업이익 32억원을 거뒀다. 작년 실적은 다음달 공시할 예정이다.
무신사는 국내 패션 시장의 중심축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옮겨 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진 디자이너·온라인 기반 브랜드를 내세워 유명 브랜드·백화점 중심으로 움직이던 패션업계의 판도를 바꿔 놓았다는 분석이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