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간 국내 고속철도 기술도 진화를 거듭해 왔다. 올해 상반기에는 기존 열차보다 시속 15㎞ 더 빠른 최고 시속 320㎞로 달리는 차세대 열차가 나올 예정이다.

31일 코레일에 따르면 2004년 KTX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을 당시 프랑스 테제베(TGV) 제조사인 알스톰의 기술을 이전받아 제작한 고속열차가 국내 레일을 달렸다. 20량 1편성의 동력 집중식 열차로 최고 영업속도는 시속 305㎞다. 최고 시속 330㎞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됐지만, 국내 노선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시속 305㎞가 최대치라는 얘기다.

2008년 11월 한국형 고속도로 ‘KTX-산천’이 탄생했다.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한 동력 집중식 열차다. 한국은 세계 네 번째 고속철도 기술 보유국이 됐다. 10량 1편성에 최고 영업속도 시속 305㎞의 차량이다. 재질이 알루미늄이라 중량이 대폭 줄었다. KTX-산천은 역 간 거리가 짧고 주요 거점 역에서 선로가 나뉘는 국내 열차 환경을 감안해 복합 운행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복합 운행이란 두 개 이상 열차를 붙여 하나의 차량처럼 운행하는 방식을 뜻한다. 서울역에서 함께 출발한 두 개 편성의 열차가 동대구역에서 한 편성은 포항역으로, 다른 편성은 진주역으로 갈라져 운행할 수 있게 된 건 KTX-산천이 복합 방식으로 설계됐기 때문이다.

철도 차량은 동력원 위치에 따라 ‘동력 집중식’과 ‘동력 분산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동력 집중식은 동력기관이 차량의 앞뒤에 모여 있다. 가운데 있는 각 열차 칸에는 동력장치가 따로 없다. 반면 동력 분산식은 차량마다 동력원이 배치돼 있다. 동력 집중식은 운전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동력 분산식은 가감속 성능이 뛰어나다는 게 특징이다.

2021년 100% 국내 기술로 제작한 국내 최초 동력 분산식 고속열차인 ‘KTX-이음’이 모습을 드러냈다. 역 간 거리가 좁아 주행과 정차가 반복되고, 터널과 교량이 많은 국내 지형에 적합한 모델이라는 평가다.

올해 상반기 KTX-이음을 업그레이드한 버전의 차세대 고속열차가 첫선을 보인다. KTX-이음보다 가감속 성능을 개선한 동력 분산식 열차다. 8량 1편성 구조로 객실 좌석은 515석이다. KTX-이음(381석)보다 수송 능력이 35% 개선된다. 2편성을 이어 연결할 수 있고, 이 경우 총 좌석은 1030석이 된다. 무엇보다 최고 영업속도가 시속 320㎞에 달한다. 기존 KTX와 KTX-산천보다 빠르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