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가 중국 지방정부 교류 30주년을 맞아 13개 지방정부와 미래산업 발전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도는 예산 스플라스리솜에서 허베이성, 헤이룽장성, 구이저우성, 쓰촨성 등 13개 중국 지방정부 국제교류 담당자 60여 명과 함께 한·중 협력 및 미래산업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1일 밝혔다. 이들 지역은 충청남도와 자매결연을 맺거나 우호 관계인 곳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중 지방정부 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인식 및 공유’를 주제로 한·중 지방정부의 역할 재정립, 담당자 간 파트너십 강화, 한·중 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등이 제시됐다.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한·중 투자 무역 및 관광 협력 △신에너지 등 미래산업 협력 △밀키트 등 식품산업 협력 △글로벌 정책 교류에 대해 논의했다.

도는 중국 상하이에 통상사무소를 설치해 양국 기업 간 투자를 확대하고 기술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스마트팜 등 농식품산업과 문화관광 분야에서, 중장기적으로는 신에너지·반도체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아울러 도는 한·중 지방정부 간 교류 성과를 높이고 담당자와의 우의를 다지기 위해 지역 경제산업 시찰과 중국 사신 발자취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주요 산업이 입주한 충남은 중국 교류의 최선봉에 있다”며 “충남과 힘을 모아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한·중 관계는 뗄 수 없는 이웃이자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며 “양국 지방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4차산업과 신에너지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예산=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