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생산, 2030년 15조 규모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생산 15조원, 수출 100억달러(약 13조4900억원)를 달성하고 바이오의약품 제조 허브로 ‘초격차’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 예산 2조1000억원을 지원해 17조7000억원의 민간 투자를 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바이오협회 등과 1일 경기 판교에서 ‘바이오제조 경쟁력 강화회의’를 열고 이 같은 청사진을 공개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코로나19를 거치며 안정적인 바이오 제조·공급망 확보가 중요해졌다”며 “정부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생태계부터 제조 기반 구축까지 지원해 우리나라가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 허브로 도약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바이오 제조 혁신전략으로 2030년까지 △17조7000억원 민간투자 지원 △바이오의약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소부장 국산화율 15% 달성 등을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예산 2조1000억원을 지원하고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기업 5곳, 글로벌 5대 바이오 소부장 기업을 배출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KOTRA에 바이오 전문 데스크를 설치하고 2028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인력 1만 명 이상을 키우겠다고 발표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바이오협회 등과 1일 경기 판교에서 ‘바이오제조 경쟁력 강화회의’를 열고 이 같은 청사진을 공개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코로나19를 거치며 안정적인 바이오 제조·공급망 확보가 중요해졌다”며 “정부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생태계부터 제조 기반 구축까지 지원해 우리나라가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 허브로 도약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바이오 제조 혁신전략으로 2030년까지 △17조7000억원 민간투자 지원 △바이오의약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소부장 국산화율 15% 달성 등을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예산 2조1000억원을 지원하고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기업 5곳, 글로벌 5대 바이오 소부장 기업을 배출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KOTRA에 바이오 전문 데스크를 설치하고 2028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인력 1만 명 이상을 키우겠다고 발표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