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라 4·3 봄바람, 날아라 평화의 씨' 주제…희생자 유족·韓총리 등 2만명 참석
'슬픈 역사' 없도록…내일 제주서 '제76주년 4·3희생자 추념식'
행정안전부는 3일 오전 10시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제7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을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올해 추념식 주제는 '불어라 4·3의 봄바람, 날아라 평화의 씨'다.

제주 4·3의 정신을 일깨우고, 평화의 씨가 날아 곳곳에 평화와 행복이 가득해져 슬픈 역사가 또다시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의미를 담았다.

희생자를 위한 1분간의 묵념으로 시작되는 행사는 과거를 넘어 치유와 회복의 시간에 와있다는 의미를 담은 영상이 참석자들에게 소개된다.

해군군악대의 연주에 맞춰 바리톤 김동규, 소프라노 한아름이 애국가를 선창하고, '질곡의 세월', '4·3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원'의 내용을 담은 영상이 오른다.

4·3 당시 5살에 아버지를 여읜 김옥자 할머니의 사연이 배우 고두심의 내레이션으로 소개된다.

76년의 세월 동안 아버지 얼굴조차 기억하지 못한 채 살아온 김옥자 할머니의 그리움을 위로하고자 인공지능(AI) 기술로 아버지 영상을 재현하고, 할머니 손녀인 한은빈 양이 편지를 낭독한다.

가수 인순이는 '아버지'를 부르며 유족의 아픔을 위로한다.

추념식에는 4·3 희생자 유족과 관련 단체, 한덕수 국무총리, 정당 대표, 국회의원 및 정부 주요 인사, 제주도민 등 약 2만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행안부가 주최하고, 제주특별자치도가 주관하는 추념식은 KBS에서 생중계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정부는 아픈 역사를 교훈 삼아 갈등과 대립을 화해와 상생이라는 가치로 승화하고, 4·3 희생자와 유족분들의 명예가 회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행안부는 올 1월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해 혼인·입양 신고 특례조항을 신설한 바 있다.

이를 통해 4·3사건 피해로 사망하거나 행방불명된 희생자와 사실상 혼인 관계에 있었으나 혼인신고를 못 한 배우자, 양자로서 실질적인 요건을 갖추었음에도 입양신고를 하지 못한 사람을 4·3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가족관계기록부에 올려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