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재 양천구청장, '족보 없는' 아이디어로 재건축 20년 숙원 풀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목동 1~3단지 재건축 갈등
녹지공원 개발로 접점 찾아
국회대로 공원~안양천 연결
녹지공원 개발로 접점 찾아
국회대로 공원~안양천 연결
![지난해 8월 '목동 그린웨이' 주민설명회에서 답변하는 이기재 양천구청장. / 사진=양천구청](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01.36304684.1.jpg)
지난 1일 이기재 서울 양천구청장(사진)은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20년 넘게 멈춰있던 목동신시가지 1~3단지 재건축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2022년 취임한 이 구청장은 도시공학·토목공학 전문가다. 그는 제3의 길을 제안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국회대로에서 안양천까지 이어지는 길을 녹지공간으로 만들어 시민에게 내주는 녹지 ‘그린웨이’를 조성해서 공공임대를 대체하겠다는 아이디어였다. 이런 내용의 지구단위계획안은 지난달 28일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조건부로 통과했다. 20년 숙원사업의 매듭이 풀린 순간이었다.
서울 녹지축 보강
![지난 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목동아파트 1~3단지 재건축 사업 갈등을 공공녹지축 '그린웨이'로 해결했다고 설명한 이기재 양천구청장. / 사진=양천구청](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01.36305043.1.jpg)
주민들의 동의를 바탕으로 일을 진행하는 부분에 특히 신경을 썼다. 그는 “2019년 민간임대 20% 조건으로 종상향하는 안도 주민 동의가 있었지만, 일부 대표자의 동의에 그쳤기 때문에 결국 원점으로 돌아간 것”이라며 “이번엔 그런 일을 반복하지 않도록 1~3단지 전체 주민의 50% 이상 동의서를 확보하고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 구청장은 “주민들도 물러설 안이 없었고 서울시가 던질 만한 다른 카드도 없었다”며 “안양천 열병합발전소 지하화 계획까지 연동해서 정교한 계획을 세웠다”고 덧붙였다.
교통인프라 확충
그린웨이의 통과는 고무적이지만, 문제가 해결됐다기보다는 새로운 문제의 시작에 가깝다. 양천구 일대의 인프라를 완전히 새틀에서 짜야 하기 때문이다.양천구는 현재 총 63개 구역에서 재건축·개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월7일 목동아파트 11단지가 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목동아파트 14개 단지 모두 변신을 예고한 상태다. 가장 먼저 안전진단을 통과한 6단지는 지난 2월 8월 서울시 신속기획통합기획안이 확정되며 최고 49층 2120가구 규모의 디자인 특화 단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계획대로 도시가 정비되면 목동 일대는 현재 2만6000여 가구에서 최대 5만3000여 가구의 미니 신도시로 바뀐다. 이 구청장은 “공공시설을 정비하고 교통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구는 총괄건축과 주도로 목동 미래 100년을 향한 전체 구상을 그리기 위해 회의를 열고 있다. 각종 공공시설, 교량, 학교시설, 도시가스와 전기 상하수도 시설 등의 증설과 재배치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하철 2호선 ‘신정 지선’의 종점을 현재 까치산역에서 김포로 연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지난달 김포시, 서울시와 체결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노선을 2.4㎞ 연장하고 지하철역이 없는 신월동에 ‘신월사거리역’을 신설할 계획이다. 특히 목동 일대에 가려진 양천구 외곽지역에 대한 교통 확충 문제를 고심하고 있다. 그는 “경제성 평가 과정에서 ‘현재의 인구’가 아니라 ‘미래의 인구’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평가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펼쳤다.
항공기 소음 피해 지역의 건축 규제 완화와 피해 보상, 그리고 고도 제한 완화를 위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국제 기준 변경 등도 이 구청장이 남은 임기동안 신경 써야 할 과제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