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 전공의·의대생 96% "의대 정원 줄이거나 유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직 전공의 류옥하다씨, 설문조사 결과 발표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집단행동을 벌이는 전공의와 의대생 96%는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줄이거나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사직 전공의 류옥하다 씨는 지난달 29일부터 전날까지 전공의 1만2774명과 의대생 1만83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 1581명 중 64.1%(1014명)는 '한국 의료 현실과 교육환경을 고려할 때 의대 정원을 감축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존 정원인 3058명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31.9%(504명)였다.
이에 의대 정원을 감축 또는 유지해야 한다는 답변은 전체의 96%를 차지했다. 반면 '증원해야 한다'는 답변은 4%에 불과했다.
또한 전공의와 의대생의 66.4%(1050명)는 '차후 전공의 수련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를 위해서는 '의대 증원·필수 의료 패키지 백지화'(93.0%·복수 응답), '구체적인 필수 의료 수가 인상'(82.5%), '복지부 장관 및 차관 경질'(73.4%), '전공의 근무 시간 52시간제 등 수련환경 개선'(71.8%)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답했다.
수련 의사가 없다고 답한 전공의·의대생도 33.6%(531명)였다. 그 이유로는 '정부와 여론이 의사 직종을 악마화하는 것에 환멸이 났기 때문'(87.4%), '정부가 일방적으로 의대 증원 및 필수 의료 패키지를 추진했기 때문'(76.9%), '심신이 지쳐서'(41.1%) 등이 거론됐다.
이외에도 한국 의료의 문제로는 '현실적이지 않은 저부담 의료비'(90.4%), '비인간적인 전공의 수련 여건'(80.8%), '응급실 및 상급종합병원 이용의 문지기 실종'(67.0%), '당연지정제'(62.4%) 등이 지적됐다. 당연지정제는 건강보험 가입 환자를 병원들이 의무적으로 진료하고 국가가 정한 금액을 받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사직 또는 휴학 과정에서 동료나 선배로부터 압력이나 협박이 있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0.9%(15명)에 불과했다. 류옥하다 씨는 "(병원이나 학교에서) 왕따가 되는 것이 두려워 돌아오지 못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건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이 결과가 보여준다"고 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2일 사직 전공의 류옥하다 씨는 지난달 29일부터 전날까지 전공의 1만2774명과 의대생 1만83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 1581명 중 64.1%(1014명)는 '한국 의료 현실과 교육환경을 고려할 때 의대 정원을 감축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존 정원인 3058명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31.9%(504명)였다.
이에 의대 정원을 감축 또는 유지해야 한다는 답변은 전체의 96%를 차지했다. 반면 '증원해야 한다'는 답변은 4%에 불과했다.
또한 전공의와 의대생의 66.4%(1050명)는 '차후 전공의 수련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를 위해서는 '의대 증원·필수 의료 패키지 백지화'(93.0%·복수 응답), '구체적인 필수 의료 수가 인상'(82.5%), '복지부 장관 및 차관 경질'(73.4%), '전공의 근무 시간 52시간제 등 수련환경 개선'(71.8%)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답했다.
수련 의사가 없다고 답한 전공의·의대생도 33.6%(531명)였다. 그 이유로는 '정부와 여론이 의사 직종을 악마화하는 것에 환멸이 났기 때문'(87.4%), '정부가 일방적으로 의대 증원 및 필수 의료 패키지를 추진했기 때문'(76.9%), '심신이 지쳐서'(41.1%) 등이 거론됐다.
이외에도 한국 의료의 문제로는 '현실적이지 않은 저부담 의료비'(90.4%), '비인간적인 전공의 수련 여건'(80.8%), '응급실 및 상급종합병원 이용의 문지기 실종'(67.0%), '당연지정제'(62.4%) 등이 지적됐다. 당연지정제는 건강보험 가입 환자를 병원들이 의무적으로 진료하고 국가가 정한 금액을 받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사직 또는 휴학 과정에서 동료나 선배로부터 압력이나 협박이 있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0.9%(15명)에 불과했다. 류옥하다 씨는 "(병원이나 학교에서) 왕따가 되는 것이 두려워 돌아오지 못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건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이 결과가 보여준다"고 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