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연봉 6500만원"…대학도 포기하고 '이 직업'에 몰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학 졸업장 귀한 몸 옛말"
美 Z세대 용접·배관공 '러시'
美 Z세대 용접·배관공 '러시'
대학교 진학 대신 기술직을 선택하는 미국 젊은 세대가 늘고 있다. 대학 등록금이 치솟으며 학비 부담이 커졌지만, 졸업장의 가치는 떨어졌다는 인식이 확산한 결과다.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Z세대는 어떻게 ‘공구 벨트(각종 공구를 매달 수 있는 허리띠)’ 세대가 되고 있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미국 젊은 층이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기술직에 진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수십 년 간 대학 등록금이 고공행진하고 있지만 졸업장의 효용 가치는 낮아졌다는 인식이 퍼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지난 1월 리서치업체 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미국 고등학생의 66%는 “대학 졸업장이 없어도 괜찮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고등학생의 부모 중 절반가량이 자녀의 4년제 대학교 진학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실제 지난해 미국에서 직업 훈련 칼리지에 등록한 학생 수는 1년 전에 비해 16% 증가했다. 교육분야 비영리단체 NSC가 2018년부터 관련 데이터를 조사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건설 기술을 전공으로 삼은 학생 수와 차량 유지보수 기술을 배운 학생 수는 각 23%, 7% 증가했다.
미국 젊은 세대가 기술직을 선호하는 배경엔 높은 임금 수준이 있다. 이 때문에 ‘3D 직업(더럽고, 위험하고, 힘든 직업)’이라 불렸던 용접공, 배관공 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도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건설직 신입 직원의 평균 임금은 전년 대비 5.1% 오른 4만 8089달러(약 6500만원)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회계 등 전문 서비스업 종사자의 연봉은 1년 전보다 2.7% 오른 3만 9520달러(약 5300만원)에 그쳤다.
미국 연봉 분석업체 ADP는 WSJ에 “건설직 신입 직원의 연봉 중간값이 회계사, 정보기술(IT) 유지보수 업계 임금 수준을 넘은 지는 벌써 4년째다”라고 설명했다.
기술직 연봉이 늘어난 배경엔 베이비붐(1946년~1964년 출생자) 세대의 은퇴가 있다. 미국 제조업을 떠받치던 중장년층 숙련공이 현장을 떠나면서 기술직 임금이 치솟았다는 분석이다. 최근 미국 정부가 리쇼어링(생산기지 본국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건설·제조 수요도 급격히 증가했다.
기술 견습과 실무를 결합한 유급 직업훈련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상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자버에 따르면 미국 내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75%가 유급 실무 교육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이 기술 직업 훈련을 선호하는 배경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있다.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사무직보다 기술직이 더 안정적이라고 판단했다는 분석이다.
젊은 층이 기술직에 유입되면서 특정 직종의 평균 연령은 낮아졌다. 목수의 평균 연령은 2013년 42.2세에서 지난해 40.9세로 떨어졌다. 전기 기사도 지난해까지 10년간 종사자의 평균 연령이 2.9세 줄었다.
기술직 종사자 수는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에서 목수로 등록된 인구는 2013년 116만여명에서 지난해 127만명까지 늘었다. 전기기사는 10년 전 73만명에서 지난해 95만 9000명까지 증가했다. 같은 기간 배관공은 55만여명에서 63만명으로, 난방 기기 설치 기사는 38만명에서 54만명으로 증가했다.
오현우 기자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Z세대는 어떻게 ‘공구 벨트(각종 공구를 매달 수 있는 허리띠)’ 세대가 되고 있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미국 젊은 층이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기술직에 진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수십 년 간 대학 등록금이 고공행진하고 있지만 졸업장의 효용 가치는 낮아졌다는 인식이 퍼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지난 1월 리서치업체 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미국 고등학생의 66%는 “대학 졸업장이 없어도 괜찮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고등학생의 부모 중 절반가량이 자녀의 4년제 대학교 진학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실제 지난해 미국에서 직업 훈련 칼리지에 등록한 학생 수는 1년 전에 비해 16% 증가했다. 교육분야 비영리단체 NSC가 2018년부터 관련 데이터를 조사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건설 기술을 전공으로 삼은 학생 수와 차량 유지보수 기술을 배운 학생 수는 각 23%, 7% 증가했다.
미국 젊은 세대가 기술직을 선호하는 배경엔 높은 임금 수준이 있다. 이 때문에 ‘3D 직업(더럽고, 위험하고, 힘든 직업)’이라 불렸던 용접공, 배관공 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도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건설직 신입 직원의 평균 임금은 전년 대비 5.1% 오른 4만 8089달러(약 6500만원)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회계 등 전문 서비스업 종사자의 연봉은 1년 전보다 2.7% 오른 3만 9520달러(약 5300만원)에 그쳤다.
미국 연봉 분석업체 ADP는 WSJ에 “건설직 신입 직원의 연봉 중간값이 회계사, 정보기술(IT) 유지보수 업계 임금 수준을 넘은 지는 벌써 4년째다”라고 설명했다.
기술직 연봉이 늘어난 배경엔 베이비붐(1946년~1964년 출생자) 세대의 은퇴가 있다. 미국 제조업을 떠받치던 중장년층 숙련공이 현장을 떠나면서 기술직 임금이 치솟았다는 분석이다. 최근 미국 정부가 리쇼어링(생산기지 본국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건설·제조 수요도 급격히 증가했다.
기술 견습과 실무를 결합한 유급 직업훈련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상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자버에 따르면 미국 내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75%가 유급 실무 교육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이 기술 직업 훈련을 선호하는 배경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있다.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사무직보다 기술직이 더 안정적이라고 판단했다는 분석이다.
젊은 층이 기술직에 유입되면서 특정 직종의 평균 연령은 낮아졌다. 목수의 평균 연령은 2013년 42.2세에서 지난해 40.9세로 떨어졌다. 전기 기사도 지난해까지 10년간 종사자의 평균 연령이 2.9세 줄었다.
기술직 종사자 수는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에서 목수로 등록된 인구는 2013년 116만여명에서 지난해 127만명까지 늘었다. 전기기사는 10년 전 73만명에서 지난해 95만 9000명까지 증가했다. 같은 기간 배관공은 55만여명에서 63만명으로, 난방 기기 설치 기사는 38만명에서 54만명으로 증가했다.
오현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