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이자 부담에…가계 여윳돈 4년 만에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이 4일 공개한 자금순환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지난해 순자금 운용액은 158조2000억원으로 2022년(209조원) 대비 50조8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운용액 규모는 2019년 92조5000억원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순자금 운용액은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이다. 보통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가계의 전체 자금 운용 규모는 194조7000억원으로, 1년 전(283조5000억원)보다 약 88조8000억원 줄었다. 자금 운용을 부문별로 나눠보면, 가계의 국내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는 전년 31조7000억원에서 -4조9000억원으로 돌아섰다. 2013년(-7조원) 이후 최저 수준이다. 운용액이 음수(-)라는 것은, 기간 중 금융자산 처분액이 취득액보다 많았다는 뜻이다. 가계가 위험자산을 축소하고, 우량주에 집중하면서 절대적인 거래금액이 줄어들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경우 작년 순조달 규모가 109조6000억원으로 전년(198조1000억원)보다 88조5000억원 축소됐다. 정 팀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 금리 상승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증가, 해외 직접투자 축소, 매출 부진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정부 역시 순조달 규모가 1년 사이 34조원에서 13조원으로 축소됐다. 정부 지출 감소세가 수입 감소보다 훨씬 더 컸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