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美中 기술 전쟁 속 '반도체 핫스폿'으로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텔, 글로벌파운드리스 등 투자…숙련 노동력 등이 장점
미국과 중국 간 기술 전쟁으로 IT(정보통신) 기업들이 사업다각화를 추진하면서 말레이시아가 반도체 생산기지의 '핫스폿'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CNBC 방송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반도체기업 인텔은 2021년 2월 말레이시아에 70억 달러(약 9조4천억 원) 이상을 투자해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공장 건설에 나섰다며 올해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텔의 첫 해외 생산시설은 1972년 160만 달러(약 22억 원)를 투자해 말레이시아 북부 페낭주에 설립한 조립공장이었으며, 인텔은 이후 말레이시아에 테스트 시설과 개발 및 디자인센터를 추가로 설립했다.
미국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 글로벌파운드리스도 지난해 9월 페낭에 미국과 유럽, 싱가포르 생산공장 운영을 위한 허브 즉, 중앙통제센터를 열었다.
독일 반도체기업 인피니온은 2022년 7월 페낭에 인접한 쿨림 지역에 3번째 웨이퍼 제조공장을 건설한다고 발표했으며,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주요 협력업체인 뉴웨이즈는 지난달 서쪽 해안지역 클랑에 새 생산시설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많은 중국 기업도 말레이시아를 중국의 '플러스원'(plus one)이라고 부르면서 생산시설의 일부를 이주시켰다고 말레이시아 반도체산업 협회는 전했다.
말레이시아는 이 같은 흐름을 반영해 지난 1월 자국 반도체 생태계를 성장시키고 투자유치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가 반도체 전략 테스크포스를 구성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싱가포르의 벤처캐피털 인시그니아 벤처스 파트너스의 잉란 탄 파운딩 매니징 파트너는 "말레이시아가 (반도체) 포장, 조립, 테스트 분야의 숙련된 노동력과 낮은 운영비용 등 장점으로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어 외국기업들에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투자진흥청(MIDA)은 지난달 18일 보고서에서 말레이시아의 글로벌 반도체 패키징, 조립 및 테스트 서비스 시장 점유율이 13% 정도라고 밝혔다.
지난해 반도체 장치와 집적회로 수출은 글로벌 반도체 수요 약세 속에 전년도에 비해 0.03% 증가한 387억4천500만 링깃(약 11조 원)을 기록했다.
최근 미·중 기술 전쟁이 고조되자 말레이시아뿐 아니라 인도와 일본도 미국, 대만, 한국과 함께 반도체 허브가 되기 위해 반도체 생산시설 구축과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인도는 지난달 150억 달러(약 20조 원)가 넘는 투자가 이뤄지는 반도체 공장 3곳을 승인했으며 앞서 지난해 6월에도 미 반도체기업 마이크론 공장 설립 계획을 승인했다.
지난달 일본에서도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중 긴장에 따른 다각화의 일환으로 건설한 첫 번째 공장이 문을 열었다.
미국은 중국이 첨단 반도체 기술을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2022년 10월 대(對)중국 반도체 기술 수출 통제 방안을 도입한 데 이어 지난해 미 반도체 설계회사인 엔비디아가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중국 판매를 차단하는 새 규정을 발표하는 등 미·중 간 기술 전쟁이 확대되고 있다.
/연합뉴스
미 반도체기업 인텔은 2021년 2월 말레이시아에 70억 달러(약 9조4천억 원) 이상을 투자해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공장 건설에 나섰다며 올해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텔의 첫 해외 생산시설은 1972년 160만 달러(약 22억 원)를 투자해 말레이시아 북부 페낭주에 설립한 조립공장이었으며, 인텔은 이후 말레이시아에 테스트 시설과 개발 및 디자인센터를 추가로 설립했다.
미국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 글로벌파운드리스도 지난해 9월 페낭에 미국과 유럽, 싱가포르 생산공장 운영을 위한 허브 즉, 중앙통제센터를 열었다.
독일 반도체기업 인피니온은 2022년 7월 페낭에 인접한 쿨림 지역에 3번째 웨이퍼 제조공장을 건설한다고 발표했으며,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주요 협력업체인 뉴웨이즈는 지난달 서쪽 해안지역 클랑에 새 생산시설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많은 중국 기업도 말레이시아를 중국의 '플러스원'(plus one)이라고 부르면서 생산시설의 일부를 이주시켰다고 말레이시아 반도체산업 협회는 전했다.
말레이시아는 이 같은 흐름을 반영해 지난 1월 자국 반도체 생태계를 성장시키고 투자유치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가 반도체 전략 테스크포스를 구성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싱가포르의 벤처캐피털 인시그니아 벤처스 파트너스의 잉란 탄 파운딩 매니징 파트너는 "말레이시아가 (반도체) 포장, 조립, 테스트 분야의 숙련된 노동력과 낮은 운영비용 등 장점으로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어 외국기업들에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투자진흥청(MIDA)은 지난달 18일 보고서에서 말레이시아의 글로벌 반도체 패키징, 조립 및 테스트 서비스 시장 점유율이 13% 정도라고 밝혔다.
지난해 반도체 장치와 집적회로 수출은 글로벌 반도체 수요 약세 속에 전년도에 비해 0.03% 증가한 387억4천500만 링깃(약 11조 원)을 기록했다.
최근 미·중 기술 전쟁이 고조되자 말레이시아뿐 아니라 인도와 일본도 미국, 대만, 한국과 함께 반도체 허브가 되기 위해 반도체 생산시설 구축과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인도는 지난달 150억 달러(약 20조 원)가 넘는 투자가 이뤄지는 반도체 공장 3곳을 승인했으며 앞서 지난해 6월에도 미 반도체기업 마이크론 공장 설립 계획을 승인했다.
지난달 일본에서도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중 긴장에 따른 다각화의 일환으로 건설한 첫 번째 공장이 문을 열었다.
미국은 중국이 첨단 반도체 기술을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2022년 10월 대(對)중국 반도체 기술 수출 통제 방안을 도입한 데 이어 지난해 미 반도체 설계회사인 엔비디아가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중국 판매를 차단하는 새 규정을 발표하는 등 미·중 간 기술 전쟁이 확대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