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전셋값 상한제'에 고가 월세로 내몰리는 서민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26% 규제'로 월세화 가속
'주거 사다리' 빌라 공급 급감
이인혁 건설부동산부 기자
'주거 사다리' 빌라 공급 급감
이인혁 건설부동산부 기자
“서울 신촌의 투룸 빌라 월세가 120만원을 넘습니다. ‘탈서울’해 경기도로 옮겨야 하나 고민입니다.”
올해 결혼을 앞둔 30대 직장인 K씨의 하소연이다. 이 직장인만 해당하는 얘기가 아니다. 2022년 불어닥친 전세사기 사태 이후 연립·다세대주택 등 빌라 시장이 초토화되면서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던 ‘빌라살이’는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전세사기에 악용되는 걸 막겠다며 도입한 ‘126% 룰’이 빌라 초토화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126% 룰’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보증하는 전세금반환보증 가입 요건을 기존 공시가의 150%에서 126%로 강화한 것이다. 그동안 전세보증 가입이 워낙 쉽다 보니 빌라 시장에서 ‘깡통전세’가 만연했고, 이로 인해 전세사기가 발생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이 ‘126% 룰’이 시장에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보증금 미반환 우려 때문에 수요자가 HUG 보증을 받는 전세 물건만 고르고 있기 때문이다. 126% 규제가 사실상 전셋값 통제 효과를 내게 된 것이다. HUG 보증액을 넘어서는 가격으로는 전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다 보니 빌라 집주인은 기존보다 전셋값을 수천만원 내리는 대신 차액을 월세로 돌리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비(非)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70.7%로 집계됐다. 2022년 2월만 해도 월세 비율이 54.6%였는데,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하고 있는 셈이다. 주거 비용도 뛰고 있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신축(5년 이내) 빌라의 평균 월세는 101만5000원(보증금 1000만원, 전용 33㎡ 이하 기준)으로 나타났다. 전세로 빌라에 거주하면서 아파트 구입 종잣돈을 마련하겠다는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상황이 개선될 기미가 없다는 점도 문제다. 올해 빌라 공시가가 낮아지면서 전셋값(HUG 보증액)은 더 내려가게 된다. 빌라 공급 자체도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수도권 빌라 착공 실적은 작년 2월 1061가구에서 올해 2월 648가구로 39% 급감했다. 안 그래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공급 유인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빌라 착공이 아예 ‘제로(0)’인 지역도 수두룩하다.
강제 역전세(이전 계약보다 전셋값 하락)에 처한 빌라 임대인도 울상이다. 업계에선 주거 사다리 복원 차원에서라도 126% 규제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주택임대인협회는 HUG 반환보증의 기준을 공시가가 아니라 시세에 연동하는 대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올해 결혼을 앞둔 30대 직장인 K씨의 하소연이다. 이 직장인만 해당하는 얘기가 아니다. 2022년 불어닥친 전세사기 사태 이후 연립·다세대주택 등 빌라 시장이 초토화되면서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던 ‘빌라살이’는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전세사기에 악용되는 걸 막겠다며 도입한 ‘126% 룰’이 빌라 초토화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126% 룰’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보증하는 전세금반환보증 가입 요건을 기존 공시가의 150%에서 126%로 강화한 것이다. 그동안 전세보증 가입이 워낙 쉽다 보니 빌라 시장에서 ‘깡통전세’가 만연했고, 이로 인해 전세사기가 발생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이 ‘126% 룰’이 시장에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보증금 미반환 우려 때문에 수요자가 HUG 보증을 받는 전세 물건만 고르고 있기 때문이다. 126% 규제가 사실상 전셋값 통제 효과를 내게 된 것이다. HUG 보증액을 넘어서는 가격으로는 전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다 보니 빌라 집주인은 기존보다 전셋값을 수천만원 내리는 대신 차액을 월세로 돌리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비(非)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70.7%로 집계됐다. 2022년 2월만 해도 월세 비율이 54.6%였는데,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하고 있는 셈이다. 주거 비용도 뛰고 있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신축(5년 이내) 빌라의 평균 월세는 101만5000원(보증금 1000만원, 전용 33㎡ 이하 기준)으로 나타났다. 전세로 빌라에 거주하면서 아파트 구입 종잣돈을 마련하겠다는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상황이 개선될 기미가 없다는 점도 문제다. 올해 빌라 공시가가 낮아지면서 전셋값(HUG 보증액)은 더 내려가게 된다. 빌라 공급 자체도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수도권 빌라 착공 실적은 작년 2월 1061가구에서 올해 2월 648가구로 39% 급감했다. 안 그래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공급 유인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빌라 착공이 아예 ‘제로(0)’인 지역도 수두룩하다.
강제 역전세(이전 계약보다 전셋값 하락)에 처한 빌라 임대인도 울상이다. 업계에선 주거 사다리 복원 차원에서라도 126% 규제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주택임대인협회는 HUG 반환보증의 기준을 공시가가 아니라 시세에 연동하는 대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