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아르떼필하모닉과 브람스 교향곡 전곡을 선보여드릴 연주 날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이 기회를 삼아 마지막 남은 브람스 교향곡 제2번과 4번에 대한 저의 생각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오늘은 2번에 관해 집중적으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브람스 교향곡 1번이 작곡되는데 21년이 걸린 데 반해 교향곡 2번은 정말 짧은 시간 만에 완성되었다는 사실은 정말 유명합니다. 2번 교향곡은 1번이 완성된 바로 다음 해에 오스트리아 남부의 유명한 여름 휴가지에서 한 달 동안의 짧은 휴가 기간 도중에 완성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에 딱 어울리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첫 교향곡 하나 쓰는 데 그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한번 고삐가 풀리니 금방 다음 일들을 뚝딱 끝낸 느낌이죠.
브람스의 교향곡 2번은 오스트리아 남부 휴양 도시 페르차하에서 완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브람스의 교향곡 2번은 오스트리아 남부 휴양 도시 페르차하에서 완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쉽게 날려쓴 것 같은 느낌의 위의 일화 때문인지 국내에는 비교적 덜 알려져 있는 교향곡이고, 1번 교향곡보다 음악 세계에서 덜 언급되는 작품인 듯 하지만, 저는 2번 교향곡이 가장 브람스다운, 완벽한 교향곡이라고 생각합니다.

1번의 대성공 이후 실제로 2번 교향곡도 당시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 초연 직후 수년간 연주가 끊임이 없었다고 합니다. 당시에 받은 평가로는 브람스의 음악 중에 가장 대중적이고, 아름다운 휴양지에서 완성한 작품이라 그런지 행복하고 한없이 편안하고 아름다운, '베토벤 6번 전원교향곡의 후예와 같다'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합니다. (브람스랑 베토벤을 비교하는 것이 엄청 유행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두 가지 정론에 모두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 작품을 작곡하는 동안 출판사 친구에게 "새 교향곡은 참을 수 없도록 울적(멜랑콜리)하다. 평생 이렇게 슬픈 작품을 쓴 적이 없다."라고 쓴 편지는 유명합니다. 반어법이라는 의견도 많지만, 저는 실제로 이 작품이 정말 멜랑콜리, 모호함, 내적 슬픔의 최대치를 표현한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 작품은 ㅡ차이코프스키 비창교향곡의 2, 3악장처럼ㅡ 현실의 행복이 아닌, 과거의 행복한 시절을 떠올리고 그리워하는 것이며, 이 작품 내에서의 모든 편안하고 아름다운 음악은 꿈속에서만 일어나는 일이라는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카를로스 클라이버와 빈필하모닉의 완벽한 마법 같은 연주로 후대의 모든 지휘자에게 큰 부담을 안겨준 1악장의 도입 부분, Introduction은 호른, 첼로+베이스, 목관끼리의 대화를 중심으로 되어서 대표적인 목가적 음악의 특징을 띄며 시작합니다. 이는 분명히 전원시가 맞습니다. 하지만 곧 미궁을 향해 빙빙 돌더니 브람스의 대표적 작곡기법 중 하나인 트럼본 코랄이 나오면서 분위기가 사뭇 달라집니다. 교향곡 1번 4악장에서도, 교향곡 3번 1악장에서도, 교향곡 4번 4악장에서도 꼭 나오는 이 트럼본의 3성 합창의 의미는 분명합니다. "간절한 기도"

브람스, 교향곡 제2번 D장조, 작품번호 73 (지휘: 카를로스 클라이버, 연주: 빈 필하모닉)

제게는 그 기도가 마치 '가장 행복했던 때로 돌아가게 해달라'라는 느낌입니다. 그 기도가 이뤄졌는지, 무엇보다 아름다운 현악 합주와 함께 본격적으로 음악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점점 그 꿈은 현실이 되고, 행복한 축제의 분위기에서 음악이 흘러갑니다. 분명 편하고 행복한 음악입니다. 이건 정말로 브람스의 행복하고 편안한 전원교향곡이 맞나 싶을 때, 발전부가 시작되며 '전원교향곡이 맞다'라고 확인까지 시켜줍니다. 전원곡의 대표적인 조성, F Major의 호른 2중창이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넘겨받은 오보에가 배신을 합니다. 특유의 절절한 오보에의 절규가 시작되며 또 금방 절망의 늪으로 빠져듭니다. 그리고 작품은 급격하게 어둡게 변하고 수많은 대위법으로 오리무중이 됩니다. 그러다가 오랫동안 쉬고 있던 트럼본이 끔찍한 불협화음과 함께 등장합니다. 이게 브람스인가 스페이드의 여왕, 비창교향곡과 같은 후기 차이코프스키인가 싶을 정도로 끝없이 절망하는 음악이 펼쳐집니다. 그리고 브람스의 대표적인 모티브 중 하나인 옥타브 기둥이 연속적으로 나오는데, 운명 혹은 비극을 표현합니다. 후기 차이코프스키 음악의 특징이기도 한, 가장 아름다울 때 모든 것을 빼앗아 가는, 그런 절망적인 음악이 브람스 교향곡 2번 1악장에서도 보여집니다. 제게 브람스 교향곡 2번이 절대 목가시, 전원음악이 아니라고 이미 1악장부터 결정 나는 순간입니다.

그렇게 발전부가 끝나고, 이후 재현부도 끝나면 유명한 호른 솔로가 나오는데, 이전까지 편안한 전원 테마만 연주하던 호른이 마지막에 가서는 누구보다 구슬프게 웁니다. 행복한 과거를 떠올리는 외로운 노인이 떠오릅니다.
브람스 교향곡 전곡 연주 앞으로 한 달… 제2번은 결코 전원음악이 아니다
그렇게 슬피 울다가 코다에 들어서면서 갑작스럽게 귀여운 아이들이 뛰어노는 듯한 귀여운 음악이 펼쳐집니다. 제가 느끼기로는, 과거를 그리워하고 외로워하던 노인이 새로운 인연, 새로운 미래를 보며 위안을 얻는 듯합니다. 이런 점에서 후기 차이코프스키와 브람스 음악의 가장 큰 차이가 보여집니다. 차이코프스키는 끝까지 괴로워하며 비극적으로 죽는다면, 브람스는 이 모든 비극을 곱씹다가 "어쩌라고" 하는 듯이 새로운 삶, 새로운 도전을 펼칩니다. 브람스 4번 교향곡 1악장, 4악장의 끝마침 모두 그런 느낌이죠.

브람스 교향곡 2번의 2악장은 제가 가장 좋아하고 존경하는 작품인데요, 음악적으로나 (작곡) 기술적으로나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완벽하다고 생각합니다. 클래식 음악계 혁신의 아이콘이자 현대음악의 시초인 쇤베르크가 브람스에 대한 당대의 평가(고전주의의 회기와 같은)와 달리 "브람스는 가장 혁신적인 작곡가였다"라고 말한 이유 중 하나가 이 작품이 아닐까라고도 예상합니다.

보통 클래식 음악 역사에는 크게 두 부류의 작곡가가 있다고들 합니다. 음악성과 멜로디의 천재, 그리고 아이디어와 구조의 천재. 근래 유행하는 MBTI로 표현하자면 FP(감성적이고 유연함)와 TJ(논리적이고 계획적)로 구분이 되겠네요. 물론 대가들은 두 가지 모두를 갖고 있으나, 굳이 구분하자면, 전자는 대표적으로 천재적인 음악성으로 경이롭도록 아름다운, 또한 자연스러운 멜로디를 작곡한 모차르트와 멘델스존이 있고, 후자는 작은 재료로도 끊임없는 연구와 구조적인 아름다움으로 대작, 걸작을 만들어내는 베토벤, 브람스가 대표적입니다. 일상의 언어와 비교하자면, 전자는 이야기를 즉흥적으로, 자유롭게, 자연스럽게, 하지만 누구보다 뛰어나고 아름답게 풀어가는 웅변의 달인이라면 후자는 완벽한 준비와 멋진 톤으로 무장한 연설의 달인과 같다고 봅니다.
베토벤, 슈베르트, 드보르작 (왼쪽부터)
베토벤, 슈베르트, 드보르작 (왼쪽부터)
언어는 음악의 멜로디와 유사한데요, 언어의 육하원칙, 기승전결처럼 음악의 멜로디에도 기본적인 규칙이 있습니다. 바로 4마디x의 규칙인데요. 유명한 멜로디를 분석해보시면 대부분 이 4마디(x=4마디, 1/2인 2마디, 2배인 8마디 등등)의 규칙을 떠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파헬벨의 카논 테마가 있겠습니다.

반면 어떠한 멜로디 혹은 프레이즈가 이 규칙을 떠나 3마디, 5마디, 7마디 이런 식이면 흐름이 조금 부자연스러워지고 뚝 끊기거나 혹은 반대로 너무 질질 끈다, 또는 "어디로 가는 거지?"라는 느낌이 들 때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이 4마디x의 규칙을 매우 잘 지키고 대부분 이 규칙 내에서만 표현했던 작곡가들이 있는데, 베토벤, 슈베르트, 드보르작이 대표적입니다. 정해진 틀 내에서 최고의 speech를 만들어내는 멋진 연설의 대가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런데 슈베르트와 드보르작은 이러한 이유로 "틀에서 벗어나면 못 한다" "천재는 아니다"라는 비판받기도 합니다. 왜냐면 음악의 천재, 천재 웅변가인 모차르트와 멘델스존 같은 경우, 이 4마디의 규칙을 절대 지키지 않음에도 누구보다도 아름답고 자연스럽고 인간의 언어와 같은 음악들을 창조했기 때문이죠. 물론, 반대로 이들도 슈베르트, 드보르작, 베토벤만큼 작품의 흐름과 구조적인 변화, 발전에 의한 감동, 쾌락을 주지는 못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웅변가'와 '연설가'의 특징은 너무나 상이해서 최고의 작곡가들도 두가지 요소를 다 못잡은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브람스 2번의 2악장은 그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은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2악장의 도입부는, 위에 언급한 4마디x 틀을 벗어나 끊임없이 연결되는 멜로디가 11마디, 5마디, 7마디, 혹은 23마디 등등의 비정상적인 프레이즈를 이루는데, 마치 후대에 많이 쓰인 황금비율, 피보나치 수열을 의도했나 싶을 정도입니다. 게다가 거의 무조음악으로 시작하기도 하죠. 하지만 막상 들어보면 수학적인, 인위적인 느낌이 전혀 없이 음악이 정말 자연스럽게, 당연하다는 듯 술술 흘러갑니다. "혹시 마법사인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후기낭만음악 전성기를 직접 겪고, 실제로도 후기낭만음악 작곡가이기도 했던 쇤베르크는 그의 감성, 음악성을 많이 포기하면서 수학적인 음악의 혁신을 이뤘는데, 그보다 한참 이전 세대 작곡가였던 브람스는 이 두 상이되는 요소 모두 마치 아무렇지 않다는 듯 조합해서, 심지어 1달도 채 되지 않는 시간에 저런 작품을 완성했으니, 쇤베르크가 브람스를 존경할 수밖에 없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는 2악장을 들으면 한없이 슬픈 감정이 드는데, 악보를 읽으면 마치 수학책을 넘어 물리학 논문을 보는 느낌입니다. 모두가 절대 공존할 수 없다고 생각하던 상이하는 요소들(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이성과 감성, 구조와 멜로디)을 누구보다 멋지게 조합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한 '브람스의 위대함'은 사실 역작 중의 역작인 브람스 교향곡 4번에서부터야 공론화가 되는데, 저는 이미 교향곡 2번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 작품을 존경합니다.

3악장은 브람스가 언제나 그랬듯, 교향곡 하나에 꼭 한악장씩은 존재하는 쉬엄쉬엄 즐겁게 쓴 작품인 듯 하니 넘어가겠습니다.

4악장은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다른 브람스 교향곡의 4악장 답지 않게 축제의 분위기로, 축포만 터뜨리다가 끝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현부가 들어오기 전 말러의 1번 교향곡 "거인"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봐도 무방한 브람스의 "옥타브 기둥" 및 "운명 테마"가 나오고, 전통적으로 운명을 표현하는 트럼펫의 D 옥타브 코드와 함께 미스터리하게 시작하는 이 작품은, 이 곡이 정말로 많은 분들이 생각하듯 행복하고 편안한 전원교향곡일까 다시 한번 의문을 갖게 하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저의 결론은 "이 축제는 현실이 아닌, (헛된) 희망이고 꿈이지 않을까?"
브람스
브람스
브람스는 21년간 이전작 교향곡 1번을 작곡하였고, 직후 1달도 되지 않는 시간 안에 2번 교향곡을 완성했습니다. 이러한 스토리로 인해 2번 교향곡이 브람스의 의도와 다른 평가를 받고 청중들도 사뭇 다른 느낌을 받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는 생각합니다. 브람스와 같이 완벽을 추구했던 작곡가가, 즉흥곡인가 싶을 정도로 말도 안 되게 짧은 시간 내에 빨리 이 작품을 완성했다는 것은, 오히려 이 작품이 브람스 자신 스스로에게 가장 충실하였던 작품이 아닌가. 그렇기에, 그의 내면과 그의 본 실력이 가감 없이 드러난 작품이 아닐까?

빠른 시일 내에, 브람스의 역작 중의 역작, 브람스의 마지막 교향곡이자 역사상 최고의 작곡가일지도 모르는 그의 '작별'교향곡, 브람스 4번 교향곡에 대한 글을 선보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지휘자 윤한결


[아주 사적인 브람스 시리즈]

▶▶▶아주 사적인 브람스①베토벤의 그늘에서 완전히 벗어난 1번 4악장

▶아주 사적인 브람스②초절정 선율은 단 한번, 인생을 닮은 3번 2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