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약속 30분 전에 들른 미술관
“전 예술 몰라요!” 하는 사람들에게 예술을 즐기는 방법을 알려주면 모두가 깜짝 놀라는 것이 있다. 알고 보니 집 근처에 미술관이 있다는 사실이다. 무관심할 땐 눈에 띄지 않다가 ‘유심’해진 순간 눈에 들어온다. 결국 보는 일도 마음이 하는 일이다.

감상에 뭔가 대단한 비법이 있는 게 아니다. 예술 작품을 향유하는 데 지식이 중요하지 않음을 깨닫고 그림 앞에서 졸지 말고 맞닥뜨려 보는 게 첫걸음이다. 느리게 걷다가 마음이 머무는 그림 앞에 멈춰서고, 15분을 몰입해 보고 나의 감상을 자유롭게 기록하는 데서 시작하면 된다.

이 간단한 예술 향유법은 퍽 유용해서 많은 사람을 변화시켰다. 함께 전시를 보고, 감상을 나누자 모두가 예술 향유자가 됐다. 그런 이후에 미술사 공부도 하고 예술 책도 읽으며 관심이 더욱 깊어졌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아니하다. 무릇 사랑하는 일이 가장 먼저이고, 15분의 몰입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다. 어쩌면 몰입이란 행복을 체득해가는 과정 같기도 하다.

삶의 행복은 멀리 있는 파랑새 찾기가 아니라 눈앞의 봄날에 눈을 뜨는 일이다. 어제 본 목련 꽃망울이 오늘 톡 벌어져 피어나는 순간을 알아채고, 그것을 보며 “아아! 어여뻐라…” 하며 웃는 나, 기쁜 나, 행복한 나를 만끽하는 것이다. 진짜 나 자신을 만나는 일이 몰입이다.

미술관은 이런 몰입을 연습하기 가장 좋은 곳이다. 물론 영화관, 음악회 등 우리를 몰입하게 하는 수많은 공간이 있다. 하지만 그 공간들은 능동형이기보다 수동적 감상 공간이다. 그런데 미술관에선 스스로 선택해야 한다. 광활한 전시장에서 나는 어느 쪽으로 걸을 것인가. 어떤 그림 앞에 머물 것인가. 쓱 보고 스쳐 가는 것도, 오래 보며 집중하는 것도 오직 나의 선택이다. 이렇게 예술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때 몰입력은 상승하고 우리는 능동적 향유자가 된다.

향유자가 되면 눈이 밝아진다. 안 보이던 것들이 보인다. 자주 가던 건물 로비에 이런 그림이 있었다니! 우리 동네에 이런 미술관이 있었다니! 깜짝 놀라며 여태 알지 못했음을 아쉬워한다. 괜찮다. 예술과 내가 만나는 것도 타이밍이다. 한 번 인연이 되면 평생 가는 친구가 되므로 마음 편히 그를 맞이하면 된다.

나는 약속이 잡히면 제일 먼저 그 동네 미술관부터 검색해본다. 약속의 앞이나 뒤로 향유의 시간을 확보한다. 오늘 들른 곳은 사당역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이다. 이곳은 대한제국 시절 벨기에 영사관으로 사용된 건물이었다고 한다. 복도를 중심으로 방으로 구성된 전시실을 둘러보며, 오래된 나무 바닥이 내는 소리를 들으며, 마음에 오후 햇살 같은 여유가 스몄다. 게다가 무려 전시는 ‘권진규의 영원한 집’ 전(展).

현대를 사는 우리는 나 자신을 마주하는 게 불편해서 스마트폰을 놓지 못하고 숏폼 콘텐츠에 중독되는지 모른다. 우리는 주도적으로 나의 주체성을 기르고, 존재로의 몰입을 연습해야 한다.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 권진규 전시는 몰입의 즐거움을 넘어 깊은 감동을 선물한다. 작품 수가 많지 않은 것도 몰입하기엔 더없이 좋은 환경이다. 그의 자소상을 오래오래 응시하며 나의 마음을 들여다봤다. 봄날에도 자주 추워하며 움츠리는 어깨와 자꾸 먼 데로 향하는 시선을 알아챘고, 지금이야말로 나를 채워야 하는 시간이라는 걸 깨달았다. 예술의 완벽한 위로였다.

각박한 사회에서, 메말라가는 감성으로 행복하기란 쉽지 않다. 그리하여 나를 만나고 특별한 행복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으로 약속 전후에 미술관을 가보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