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해서 못 사겠네"…알리서 산 아이가방서 발암물질 검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알리서 산 아이가방, 기준 56배 발암물질 검출
서울시, 알리산 31개 제품 조사
8개 제품 부적합 판정 받아
서울시, 알리산 31개 제품 조사
8개 제품 부적합 판정 받아

서울시는 어린이용품과 생활용품 31개를 조사한 결과 5개의 제품에서 위해성 물질이 검출됐고 3개 제품은 내구성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다고 8일 밝혔다. 조사는 서울시가 국가기술표준원 안전 인증기관으로 지정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KATRI 시험연구원,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해 알리 판매율 상위권인 어린이제품 19개(8품목)와 가정용 섬유제품 등 생활용품 12개(3품목)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사탕 모양 치발기, 보행기 등은 내구성 시험을 탈락했다. 유아가 입에 물고 사용하는 치발기는 디자인과 형태가 기도를 막고, 쉽게 부러질 수 있어 유아가 조각을 흡입할 가능성이 높았다. 보행기의 경우 제품에서 발생하는 틈으로 인해 베임, 낌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알테쉬(알리, 테무, 쉬인)로 불리는 중국의 직구 플랫폼을 중심으로 안전성 검사 체계를 가동한다. 국내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거나 피해접수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국표원 인증기관에서 조사를 진행한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미 주방세제, 일회용품, 가공식품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다. 생활용품과 의류 제품에 대해서는 외부 기관에 검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이달 넷째주부터 매주 검사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할 방침이다.
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해외직구 제품은 국내 안전 기준을 적용받지 않아 언제든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전담 신고센터와 상시 검사체계 구축을 통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