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악화 막자"…건설사 '위기관리형 CEO' 전면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DL이앤씨 새 대표에 재무통
GS건설은 오너 4세 허윤홍
업계 "공격 영업보다 내실 경영"
GS건설은 오너 4세 허윤홍
업계 "공격 영업보다 내실 경영"
지난해 말 이후 주요 건설회사가 잇따라 수장 교체에 나서고 있다. 건설사 새 대표(CEO)는 ‘위기 관리형’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건설사가 실적 악화에 대비하고 위기를 관리하는 방향으로 경영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다.
DL이앤씨는 지난 3일 서영재 전 LG전자 전무를 대표로 내정했다. 서 대표는 LG전자에서 기획·재무·경영 업무를 두루 거친 전략기획통으로 알려져 있다. 경영실적 악화를 해소하고 신사업을 발굴할 전문가를 영입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해 DL이앤씨의 영업이익은 33.5% 급감했다. 2022년 3위였던 시공능력평가 순위도 지난해 6위로 떨어졌다.
포스코이앤씨도 지난달 재무·전략통으로 알려진 전중선 전 포스코홀딩스 사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업계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최근 2~3년간 정비사업 수주에 방점을 뒀다면 앞으로는 내부 관리를 중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GS건설은 지난해 허윤홍 사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10년 만에 적자(3879억원)로 전환하자 오너 4세를 앞세워 내부 단속에 나서고 있다.
중견건설사도 새 대표를 잇따라 선임하고 있다. 신세계건설은 건설통 대신 재무전문가인 허병훈 경영전략실 경영총괄 부사장을 대표로 낙점했다. 지난해 영업손실 1878억원을 기록하는 등 2년 연속 영업손실을 낸 데다 부채비율도 2022년 말 265%에서 지난해 말 951.8%로 급증했다. 당장 내실 다지기부터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 작업) 중인 태영건설도 지난달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열고 최금락 부회장과 최진국 사장을 각자대표로 선임했다. 이와 함께 진흥기업(김태균 대표), SGC E&C(이창모 대표), HJ중공업 건설부문(김완석 대표), KCC건설(심광주 대표) 등도 수장이 바뀌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건설사가 내실 다지기로 선회하는 주요 이유로 주택 분야의 사업성 악화를 꼽고 있다. 재건축·재개발 현장에서 금리와 공사비 상승으로 사업성이 크게 나빠지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대형 건설사 10곳 중 7곳의 올해 1분기 재건축·재개발 수주가 0건에 그쳤다.
각종 건설 사고 리스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무 우려도 이른바 ‘리스크 관리형 수장’이 중용되는 배경으로 꼽힌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DL이앤씨는 지난 3일 서영재 전 LG전자 전무를 대표로 내정했다. 서 대표는 LG전자에서 기획·재무·경영 업무를 두루 거친 전략기획통으로 알려져 있다. 경영실적 악화를 해소하고 신사업을 발굴할 전문가를 영입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해 DL이앤씨의 영업이익은 33.5% 급감했다. 2022년 3위였던 시공능력평가 순위도 지난해 6위로 떨어졌다.
포스코이앤씨도 지난달 재무·전략통으로 알려진 전중선 전 포스코홀딩스 사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업계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최근 2~3년간 정비사업 수주에 방점을 뒀다면 앞으로는 내부 관리를 중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GS건설은 지난해 허윤홍 사장을 대표로 선임했다. 10년 만에 적자(3879억원)로 전환하자 오너 4세를 앞세워 내부 단속에 나서고 있다.
중견건설사도 새 대표를 잇따라 선임하고 있다. 신세계건설은 건설통 대신 재무전문가인 허병훈 경영전략실 경영총괄 부사장을 대표로 낙점했다. 지난해 영업손실 1878억원을 기록하는 등 2년 연속 영업손실을 낸 데다 부채비율도 2022년 말 265%에서 지난해 말 951.8%로 급증했다. 당장 내실 다지기부터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 작업) 중인 태영건설도 지난달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열고 최금락 부회장과 최진국 사장을 각자대표로 선임했다. 이와 함께 진흥기업(김태균 대표), SGC E&C(이창모 대표), HJ중공업 건설부문(김완석 대표), KCC건설(심광주 대표) 등도 수장이 바뀌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건설사가 내실 다지기로 선회하는 주요 이유로 주택 분야의 사업성 악화를 꼽고 있다. 재건축·재개발 현장에서 금리와 공사비 상승으로 사업성이 크게 나빠지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대형 건설사 10곳 중 7곳의 올해 1분기 재건축·재개발 수주가 0건에 그쳤다.
각종 건설 사고 리스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무 우려도 이른바 ‘리스크 관리형 수장’이 중용되는 배경으로 꼽힌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