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미국 증시: CPI 데이터 강세 시 10년물 국채금리 및 달러 급등 가능 [인베스팅닷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By Michael Kramer
(2024년 4월 7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이번 주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수출입 물가 데이터가 발표될 예정이다. 미국 3월 CPI는 전월 대비로 2월의 0.3% 상승에서 0.4% 상승으로 가속화되고, 전년 대비로는 2월의 3.4% 상승에서 3.2% 상승으로 둔화가 예상된다. 한편 근원 CPI은 전월 대비로 2월의 0.3%에서 0.4% 상승으로 가팔라지는 반면, 전년 대비로는 2월의 3.8% 상승에서 3.7% 상승으로 소폭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CPI 스왑에서는 전년 대비 3.4%, 전월 대비 0.3%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컨센서스 예상치와 일치한다.
![CPI 스왑](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e60e7c118ea0e4b83ee0d307e956542a.png)
지난 몇 달 동안 CPI 수치는 애널리스트의 중간 추정치 및 CPI 스왑 가격보다 높았다. 지난 7월로 거슬러 올라가면 CPI 데이터가 CPI 스왑 가격보다 낮게 나온 것은 11월에 단 한 번뿐이었다.
![CPI 스왑 예상치](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4ddd3ab9d6d668b56709bceb2f91eec3.png)
따라서 이번에도 물가지수가 강력하게 나온다면 좋지 않을 것이고, 국채금리가 곡선 전반에 걸쳐 계속 상승할 수 있다. 지난주 강세를 보인 고용보고서 발표 후 2년물 국채금리는 4.75%로 한 주를 마감했고, 10년물은 4.4%로 상승했다.
2년물 국채금리는 장기적인 컵 앤 핸들(cup and handle)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 보이며, 이제 이 패턴에서 벗어나 약 5.1%까지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펀더멘털 측면에서 2년물 국채금리가 이렇게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게 들릴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을 직시해 보자. 최근의 고용 데이터와 향후 몇 달 동안 전년 대비 인플레이션이 3.2% 내외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CPI 스왑 가격에 근거한 기대치를 고려할 때, 시장에서는 금리인하 기대가 더 많이 제거되었으므로 미 2년물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미국 2년물 국채금리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fff290d7c2bf684f2342a2a21eb1671f.png)
또한 3개월물 국채 현물금리에서 18개월 선도금리를 뺀 이른바 “파월” 지표가 -91베이시스포인트까지 상승했는데, 이는 지난 11월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3개월물 국채 18개월 선도금리가 현물금리까지 상승하면서 이 지표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고, 이러한 부분은 시장이 금리인하 가능성을 낮추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파월 지표](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ff622cbb697275a6d3e62b9b9eff371b.png)
10년물 국채금리 차트에는 단기적인 컵 앤 핸들 패턴이 있었는데 이 패턴이 깨졌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주요 저항선인 4.35%를 넘어 4.4%로 한 주를 마감했다. 이 시점에서 금리는 더 높지는 않더라도 약 4.5%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미 10년물 국채금리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e672bbd742654265114677d250e95f6b.png)
한편, 미국의 오버나이트 금리 기대치와 다른 중앙은행의 금리 기대치 사이의 스프레드는 계속 확대되었다. 특히 미국 경제지표가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가 더 길어지는 방향을 가리킬 경우 향후 몇 주 동안 달러 지수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금리 기대](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09648d5966131ca6089d00917d15f9c6.png)
또한 미국 10년물과 독일 10년물 사이의 스프레드와 같이 장기 스프레드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상승장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스프레드가 더 확대됨에 따라 달러가 여기서부터 더 강세를 보일 것임을 시사한다. 2% 영역은 이 스프레드의 큰 저항 영역이었으며, 이 수준을 넘어서면 2.3% 이상까지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미국 10년물, 독일 10년물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78516c1e0040319d3a219568430e4ec3.png)
스프레드가 확대되면 유로 대비 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이다. 현재 유로화 지지선이 1.07이므로 유로화가 달러 대비 크게 하락하고 패리티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
![유로/달러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6dde64c0150042f956865643923cdca1.png)
스프레드 확대는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지난주 CDX 하이일드 지수가 340까지 상승하면서 이미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CDX 하이일드 지수](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3377b378152617ba964e6a04529804fc.png)
금리 상승, 달러 강세, 신용 스프레드 확대의 조합은 금융여건의 긴축과 주식 밸류에이션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다. 밸류에이션이 얼마나 낮아질지는 금융여건이 얼마나 긴축되느냐에 달려 있으며, 현재 경제지표로 볼 때 여건이 많이 긴축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주식시장이 고용지표에 관심이 없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지만, 지난 목요일에 논의된 1일 내재변동성 상승과 그 이후 가능한 변동성 폭락을 떠올린다면 지난 금요일의 '랠리'가 바로 그 내용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고용지표 호조를 축하하는 것이 아니라 3월 11일 CPI 데이터와 2월 21일 엔비디아 실적 발표 후와 마찬가지로 변동성이 리셋되었기 때문이다.
![변동성지수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65e69085634f60c9ee14370d0fae8fe8.png)
엔비디아(NASDAQ:NVDA) 랠리는 그 다음에 상당 부분 반등했고, 전체 CPI 랠리 역시 나스닥 100 지수에서 볼 때 반등했다.
지난 금요일에 눈에 띄는 점은 나스닥 100 지수가 3일 연속 10일 지수이동평균을 넘어서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4일 연속 아래에서 마감했다는 점이다.
이 시점에서 이동평균이 저항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만약 나스닥 100에서 다이아몬드 패턴이 형성되었다면 2월 21일 저점인 17,330포인트를 밑돌 것으로 예상했을 것이다.
![나스닥 100 지수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5a45c57f4a785074008eb570c2f09e68.png)
S&P 500 지수는 10일 지수이동평균에서 마감했고 현재 4일 연속 이 수준에서 고전하고 있어서 지수의 추세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10월 저점에서 지수의 상당한 상승 추세가 꺾인 상태다.
10월 말 S&P 500 지수는 4,100포인트에서 거래되었는데, 금융여건 완화와 시스템적 흐름에 기반해 말도 안 되는 랠리가 시작되었다. 향후 몇 달 동안 금융여건이 긴축되어 체계적인 매도 흐름이 촉발되면 그 수준으로 돌아가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S&P 500 지수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92e71ae3f7f68289e8cad77277b96e93.png)
한편, 지난주 현재 엔비디아 주가는 850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850달러 선을 돌파하면 이중천정(double-top) 하락 장악형 패턴이 형성되어 주가가 675달러에서 갭을 메우며 하락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
![엔비디아 일간 차트](https://d18-invdn-com.investing.com/content/pic6c2db53912ecd421003b6dcda390c9ab.png)
해당 기사는 인베스팅닷컴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기사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