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몸값 걱정 더나"…반전 노리는 게임업계 '신입' 누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개발자 갈아넣는 '크런치모드' 옛말
"AI가 개발하는 시대"
3N, '인텔리전스랩스·AI센터' 등의 전담 부서 꾸려
AI통한 음성 생성·이미지 생성 기술 게임 내 활용
"AI가 개발하는 시대"
3N, '인텔리전스랩스·AI센터' 등의 전담 부서 꾸려
AI통한 음성 생성·이미지 생성 기술 게임 내 활용

11일 업계에 따르면 각 기업은 AI를 통해 음성과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해 게임에 적용하고 자체 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넥슨, AI통한 음성 생성 활용 연구…엔씨, 생성형AI '바르코' 개발 박차
넥슨은 AI를 통한 음성 생성 활용과 NPC(Non-Player Character) 서비스를 연구 중이다. 넥슨 보이스 크리에이터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작 시 게임 디렉터나 운영자(GM)의 목소리를 직접 녹음하지 않고 AI로 생성해 직접 녹음할 때보다 관련 업무 시간 75% 감소시켰다. 넥슨은 지난해 12월 마비노기에 AI 음성 생성 서비스를 추가해 시각장애인 이용자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해 한차례 주목받았다.또한 NPC, 보스, 주요 캐릭터에 정해진 스크립트가 아닌 AI 캐릭터(페르소나)를 도입해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고 AI 음성 합성 기술로 NPC마다 고유의 음성을 부여해서 게임 몰입도를 향상했다.
넥슨은 이러한 AI 관련 기술을 게임에 접목하기 위해 2017년 4월 인텔리전스랩스를 설립했다. 인텔리전스랩스에서는 게임 부가 기능의 고도화는 물론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있다.

또한 설명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AI 서비스 바르코 아트(VARCO Art)를 통해 엔씨(NC) 소유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게임 컨셉 아트 제작, 의상 디자인 등 다양한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다.
넷마블·크래프톤, AI 통해 유저 친화적 게임 생태계 구축

크래프톤은 올해 이용자와 함께 멀티플레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AI 플레이어인 버추얼 프렌드를 도입할 예정이다. 버추얼 프렌드는 여러 AI 기술이 접목된 집합체로 챗 GPT 수준의 자연어(NLP) 처리 및 언어모델이 적용돼 이용자와 원활하게 대화할 수 있으며, STT(Speech To Text)와 TTS(Text To Speech) 기술을 통해 음성 또는 텍스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다. 크래프톤은 2021년부터 딥러닝과 AI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신사업에 해당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 및 투자 규모를 확대 중이다.
"게임 업계 내 AI 열풍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인건비↓
게임업계 관계자는 "게임 업계 전반적으로 AI를 활용해 기타 프로세스를 간소화해 사람이 할 수 있는 창의적 활동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AI를 게임 개발에 활용하면서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고 앞으로도 이런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게임 업계 전반에 AI를 활용한 기술이 더 많이 활용될 전망이다"고 말했다.김 교수는 "직접 해보니 AI 기술이 사람 입맛에 맞는 결과물을 뽑기까진 아직 시간이 걸리긴 하지만 그 정확도가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AI를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대다수의 게임 회사가 AI 기술을 범용해 사용하고 있으며 AI가 몇사람의 몫을 충분히 해내기 때문에 인건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