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도체 대전 와중에 파업 카드 꺼내 든 삼성전자 노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반도체 대전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삼성전자 근로자들이 임금을 더 올려달라며 파업으로 위협하고 나섰다. 전국삼성전자노조 등 5개 주요 노조가 연합해 창사 55년 만에 첫 단체행동을 선언한 것이다. 쟁의행위 찬반투표(3월 18일~4월 5일)는 참가자의 97%, 조합원의 74%라는 압도적 찬성률로 마무리됐다. 노조는 17일 경기 화성 삼성전자 DSR타워(반도체부품연구동)에서 1000여 명이 참가하는 준법투쟁을 예고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삼성전자 노조는 작년과 재작년에도 쟁의권을 확보했지만 투표를 통한 단체행동 돌입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조는 사측과 노사협의회 협상에서 결정된 임금인상률 5.1%가 너무 낮아 부득불 실력행사에 나섰다지만 공감하기 어렵다. ‘반도체 한파’로 지난해 영업이익이 85%나 쪼그라든 상황에서 물가상승률(2.6%)의 2배에 달하는 인상률은 객관적 시각에서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 올 들어 반도체 업황이 빠르게 회복 중이라지만 총성 없는 글로벌 전쟁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임금 인상은 올해 호실적이 확인되고 난 뒤에 주장하는 게 순서다.
파업 위협은 지난해 14조8800억원의 적자를 내 성과급을 한푼도 받지 못한 반도체부문(DS) 직원들이 주도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반도체 경기 반등을 빌미로 임금 인상과 성과급을 주장할 요량이면 대규모 적자 때 연봉 삭감을 자청해야 했다. 회사가 잘나갈 때는 충분히 성과를 누리면서 어려울 때 외면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태다. 지난 한 해 시설투자에 53조1000억원을 쏟아부은 것처럼 앞으로도 천문학적 투자 재원이 필요하다는 점은 누구보다 직원들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노조는 또 최종 타결 과정에서 자신들이 배제돼 임금협상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어불성설이다. ‘근로자 참여 및 협력 증진에 관한 법률’은 과반 노조가 없을 경우 노사협의회 등을 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삼성전자 노조원은 정규직원의 20% 정도에 불과하다. 이번 사태가 더 주목받는 것은 2021년 ‘무노조 경영 폐기’ 선언 후 3년 내리 파업 위기가 덮쳐서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파운드리 등에서 한 발 뒤처진 상황에서 노조 리스크가 덮치면 삼성의 초일류 경쟁력은 물 건너갈 수밖에 없다. 회사가 이류가 되면 지금 받는 최고 대우도 불가능하다는 점을 노조는 명심해야 한다.
삼성전자 노조는 작년과 재작년에도 쟁의권을 확보했지만 투표를 통한 단체행동 돌입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조는 사측과 노사협의회 협상에서 결정된 임금인상률 5.1%가 너무 낮아 부득불 실력행사에 나섰다지만 공감하기 어렵다. ‘반도체 한파’로 지난해 영업이익이 85%나 쪼그라든 상황에서 물가상승률(2.6%)의 2배에 달하는 인상률은 객관적 시각에서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 올 들어 반도체 업황이 빠르게 회복 중이라지만 총성 없는 글로벌 전쟁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임금 인상은 올해 호실적이 확인되고 난 뒤에 주장하는 게 순서다.
파업 위협은 지난해 14조8800억원의 적자를 내 성과급을 한푼도 받지 못한 반도체부문(DS) 직원들이 주도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반도체 경기 반등을 빌미로 임금 인상과 성과급을 주장할 요량이면 대규모 적자 때 연봉 삭감을 자청해야 했다. 회사가 잘나갈 때는 충분히 성과를 누리면서 어려울 때 외면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태다. 지난 한 해 시설투자에 53조1000억원을 쏟아부은 것처럼 앞으로도 천문학적 투자 재원이 필요하다는 점은 누구보다 직원들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노조는 또 최종 타결 과정에서 자신들이 배제돼 임금협상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어불성설이다. ‘근로자 참여 및 협력 증진에 관한 법률’은 과반 노조가 없을 경우 노사협의회 등을 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삼성전자 노조원은 정규직원의 20% 정도에 불과하다. 이번 사태가 더 주목받는 것은 2021년 ‘무노조 경영 폐기’ 선언 후 3년 내리 파업 위기가 덮쳐서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파운드리 등에서 한 발 뒤처진 상황에서 노조 리스크가 덮치면 삼성의 초일류 경쟁력은 물 건너갈 수밖에 없다. 회사가 이류가 되면 지금 받는 최고 대우도 불가능하다는 점을 노조는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