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식 KIEP 실장 "인플레 우려에도...대선 전 금리인하 가능성" [2024 GFC]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노동력 공급 축소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져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이 연내 금리인하를 한다면 인플레 완화가 아닌, 대선주자들의 압박에 따른 것으로, 결국 미국 대선 전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이다.
정영식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11일 한국경제TV·한경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2024 세계 경제·금융 컨퍼런스' 제2세션 '금리·환율·성장율 & 중국 '4中시대…피봇이 온다'에서 이같이 내다봤다.
정 실장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좀 더 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미 연준이 금리인하 시그널을 보내는 것은 장기금리가 올라가지 않도록 캡(상한선)을 씌우고, 국가부채와 이자상환 부담을 늦추기 위한 의도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이 금리를 낮춘다면 인플레 보다는 미국 대선 때문에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 대선 후보들이 연준에 금리인하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어 대선 전에 낮출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의 금리인하 예상 시점이 늦어지는 이유로는 '코로나 이후에 발생한 구조적인 변화'를 꼽았다.
정 실장은 "수요적인 측면에서 코로나19를 거치며 막대한 재정지출이 있었고, 이로 인해 수요가 늘며 임금이 올랐다"며 "공급 측면에서도 미국은 노동시장이 유연성이 컸지만 코로나19 여파에 필요할 때 고용하고 해고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임금상승률이 더 높아지며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더뎌졌다"고 분석했다.
정 실장은 또 이전과 같은 '저금리·저물가로의 회귀'는 어려울 것"이라고 단언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때문이다.
그는 "2020년 이전에는 매년 세계 인구가 증가했는데 최근에는 1% 밑으로 떨어졌고 인구감소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며 "이로 인해 노동의 공급이 줄고 고령화가 심해지면 재정 지출이 늘어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구 고령화는 인공지능(AI) 혁신과 다양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변수가 될 수 있지만, 잠재성장률이 떨어진 요인으로 작용해 성장은 낮아지고 물가는 상대적으로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 실장은 한국의 금리인하 시기와 관련해선 "미국보다 먼저 하기는 힘들다"고 주장했다.
소비나 내수 경기 침체로 금리인하 필요성이 크지만 비용 측면에서의 인플레 압력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미국이 금리를 낮춘 이후에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정 실장은 "국제유가가 오르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1,360원선을 넘어서 환율 경로를 통한 인플레 압력이 커질 수 있다"며 "미국의 금리인하 후에 한미 금리차나 환율을 고려해 한국은행이 금리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
미국이 연내 금리인하를 한다면 인플레 완화가 아닌, 대선주자들의 압박에 따른 것으로, 결국 미국 대선 전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이다.
정영식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11일 한국경제TV·한경미디어그룹 주최로 열린 '2024 세계 경제·금융 컨퍼런스' 제2세션 '금리·환율·성장율 & 중국 '4中시대…피봇이 온다'에서 이같이 내다봤다.
정 실장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좀 더 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미 연준이 금리인하 시그널을 보내는 것은 장기금리가 올라가지 않도록 캡(상한선)을 씌우고, 국가부채와 이자상환 부담을 늦추기 위한 의도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이 금리를 낮춘다면 인플레 보다는 미국 대선 때문에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 대선 후보들이 연준에 금리인하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어 대선 전에 낮출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의 금리인하 예상 시점이 늦어지는 이유로는 '코로나 이후에 발생한 구조적인 변화'를 꼽았다.
정 실장은 "수요적인 측면에서 코로나19를 거치며 막대한 재정지출이 있었고, 이로 인해 수요가 늘며 임금이 올랐다"며 "공급 측면에서도 미국은 노동시장이 유연성이 컸지만 코로나19 여파에 필요할 때 고용하고 해고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임금상승률이 더 높아지며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더뎌졌다"고 분석했다.
정 실장은 또 이전과 같은 '저금리·저물가로의 회귀'는 어려울 것"이라고 단언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때문이다.
그는 "2020년 이전에는 매년 세계 인구가 증가했는데 최근에는 1% 밑으로 떨어졌고 인구감소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며 "이로 인해 노동의 공급이 줄고 고령화가 심해지면 재정 지출이 늘어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구 고령화는 인공지능(AI) 혁신과 다양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변수가 될 수 있지만, 잠재성장률이 떨어진 요인으로 작용해 성장은 낮아지고 물가는 상대적으로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 실장은 한국의 금리인하 시기와 관련해선 "미국보다 먼저 하기는 힘들다"고 주장했다.
소비나 내수 경기 침체로 금리인하 필요성이 크지만 비용 측면에서의 인플레 압력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미국이 금리를 낮춘 이후에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정 실장은 "국제유가가 오르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1,360원선을 넘어서 환율 경로를 통한 인플레 압력이 커질 수 있다"며 "미국의 금리인하 후에 한미 금리차나 환율을 고려해 한국은행이 금리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