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지필름, 6조 투자해 CDMO 생산능력 5배 높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탈바꿈한 후지필름이 2028년까지 7000억엔(약 6조2500억원)을 투자해 생산능력을 5배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2일 보도했다. 세계 1위 CDMO 기업 론자에 이어 후지필름도 특히 미국 시장에서 생산설비 확대를 노리는 중이다.
닛게이에 따르면 후지필름은 우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12억달러(약 1조6400억원)를 추가로 투자해 새로운 공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2021년 2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한 지 3년만이다. 이번 추가 투자로 미국에서만 32만L 규모의 포유류 세포배양 바이오리액터를 추가하게 됐다. 2021년 짓기 시작한 공장은 내년에, 이번에 추가로 투자한 공장은 2028년에 가동될 예정이다.
후지필름은 미국 외 유럽, 일본에도 새로운 생산설비를 짓고 4년 뒤까지 생산능력을 75만L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닛게이는 “일본 제약산업은 신약 개발로 물꼬를 트는 동시에 수탁생산 설비도 늘리는 중”이라며 “후지필름은 2029년 3월까지 CDMO 매출 5000억엔(4조4000억원)을 기록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매출 4조 장벽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은 후지필름 뿐만이 아니다. 매출 기준 세계 1위 CDMO 기업인 론자도 지난달 12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캘리포니아 바카빌에 있는 33만L 규모의 항체 위탁생산(CMO) 공장을 인수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32년까지 132만L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겠다는 ‘초격차’ 전략을 세웠다. 하지만 CDMO 경쟁사들이 나란히 ‘몸집 불리기’에 나선만큼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차별력 있는 전략 확보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32년까지 짓는 8개의 공장이 모두 인천 송도에 있는 만큼,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가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이 공장 건설보다는 인수쪽에 방점을 찍고 미국 진출 ‘큰 그림’을 그리고 있으나, 관련 매물이 한정적인 만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 개발도 또다른 축이 될 수 있다.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협업해 희귀질환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시설을 활용해 시너지를 내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닛게이에 따르면 후지필름은 우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12억달러(약 1조6400억원)를 추가로 투자해 새로운 공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2021년 2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한 지 3년만이다. 이번 추가 투자로 미국에서만 32만L 규모의 포유류 세포배양 바이오리액터를 추가하게 됐다. 2021년 짓기 시작한 공장은 내년에, 이번에 추가로 투자한 공장은 2028년에 가동될 예정이다.
후지필름은 미국 외 유럽, 일본에도 새로운 생산설비를 짓고 4년 뒤까지 생산능력을 75만L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닛게이는 “일본 제약산업은 신약 개발로 물꼬를 트는 동시에 수탁생산 설비도 늘리는 중”이라며 “후지필름은 2029년 3월까지 CDMO 매출 5000억엔(4조4000억원)을 기록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매출 4조 장벽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은 후지필름 뿐만이 아니다. 매출 기준 세계 1위 CDMO 기업인 론자도 지난달 12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캘리포니아 바카빌에 있는 33만L 규모의 항체 위탁생산(CMO) 공장을 인수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32년까지 132만L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겠다는 ‘초격차’ 전략을 세웠다. 하지만 CDMO 경쟁사들이 나란히 ‘몸집 불리기’에 나선만큼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차별력 있는 전략 확보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32년까지 짓는 8개의 공장이 모두 인천 송도에 있는 만큼,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가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이 공장 건설보다는 인수쪽에 방점을 찍고 미국 진출 ‘큰 그림’을 그리고 있으나, 관련 매물이 한정적인 만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 개발도 또다른 축이 될 수 있다.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협업해 희귀질환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시설을 활용해 시너지를 내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