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준의 시선] 안 하면 좋을 말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베트남 공산화 당시 주월 공사
이대용, 갖은 고초에도 투항 거부
수용소서 만난 지식인·자산가
"배신자는 또 배신한다"며 숙청 돼
툭하면 "이민한다"는 '강남우파'
남베트남 인사들과 얼마나 다를까
이응준 시인·소설가
이대용, 갖은 고초에도 투항 거부
수용소서 만난 지식인·자산가
"배신자는 또 배신한다"며 숙청 돼
툭하면 "이민한다"는 '강남우파'
남베트남 인사들과 얼마나 다를까
이응준 시인·소설가
남베트남이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에 의해 수도 사이공이 함락돼 멸망할 적에 그곳 대한민국 대사관 이대용 공사는 탈출할 기회가 몇 번이나 있었지만, 미국 대사관을 떠나는 마지막 헬리콥터에 올라타라는 제의마저 마다한 채 한국인들을 피란시키다가 북베트남군의 포로가 되었다. 그는 치화형무소에 투옥된다.
그 시절 공산치하 베트남 감옥은 지금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그냥 ‘생지옥’이라고 보면 된다. 많은 죄수들이 자살을 선택했지만, 이대용 공사는 절대 자살만은 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지켰다. 그를 괴롭혔던 건 뱀 쥐 벌레, 배고픔과 어둠, 고문과 절망, 더위와 추위 등등만이 아니었다. 북한이 파견한 공작요원들에게서 북한으로의 망명 자술서를 쓰라는 회유와 협박을 받았다. 이대용은 아직 가족들이 북한에 살고 있는 황해도 출신이었고 현역 준장이었으며 무엇보다 중앙정보부 소속이었다. 그는 6사단 중대장으로서, 북한 전차부대의 진격 기세를 꺾은 국군의 6·25전쟁 첫 승전인 ‘춘천전투’의 주인공이었다. 그의 부대는 110회의 전투를 치르면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 북한으로서는 엄청난 가치를 지닌 포섭 대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대용은 자살에 저항하듯 끝까지 투항을 거부했다.
이대용 장군은 타고난 기록자였다. 회고록 중에는 인상적인 것들이 많다. 남베트남에서 반체제 운동으로 유명했던 교수, 신부, 간첩, 지식인, 자산가, 정치인 등등이 그와 함께 수감돼 있었고 그 지옥에서 사그라들어 죽거나 자살했다. 북베트남이 그들을 그렇게 처리한 명분은 ‘배신자는 또 배신한다’였다. 그들 가운데 하나가 그에게 영혼이 증발해버린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우리는 돌아갈 곳이 없지만, 당신은 있구나.” 1979년 2월 17일 ‘중국-베트남 전쟁’이 터지고 북한이 중국 편을 들자 ‘이대용 문제’는 변화를 맞이한다. 이를 놓치지 않은 대한민국 정부는 유대인 사업가 사울 아이젠버그를 내세워 베트남 정부를 설득해, 이대용 장군은 1980년 4월 2일, 4년 11개월 만에 조국으로 돌아왔다.
그가 견딘 베트남 감옥보다 더 참혹한 감옥이 과거와 현재 북한의 감옥이다. 지난 정권이 2년 정도 지났을 무렵 한 모임에서 내게 인문학 강의를 부탁했다. 의사, 변호사, 전문직, 사업가 등 대부분 부자였고 ‘보수우파’를 자처하는 사람들이었다. 집으로 돌아와 보니 그들의 카톡방에 초대돼 있었고, 본의 아니게 그들이 평소 하는 얘기들을 관람하는 입장이 되었다. 그들은 맘에 안 드는 일이 생길 적마다 미국으로 이민한다거나 그것과 관계되는 정보들을 교환했고, 실지로 ‘여러 가지 양상’으로 그렇게 진행하고 있었다. 나는 조용히 그 카톡방을 나왔다.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이 패배할 거라는 여론조사가 득세하자, 아직 한국에 남아 있는 재산을 미국으로 옮겨야겠다는 대화를 그 모임의 누군가가 내게 캡처해 보내주면서 한탄을 했다.
나는 ‘강남좌파’보다 ‘강남우파’가 더 싫다. 나 같은 가난한 ‘경제적 자유주의자’가 저런 인간들에게 득이 되는 글을 오래도록 신념을 가지고 쓰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북베트남이 베트콩과 남베트남 반체제 인사들을 숙청한 걸 이해하게 만들까봐 무서울 만큼 내 인생을 회의(懷疑)하게 만든다. 강남좌파의 정의로운 척보다 강남우파의 애국자 연극이 역겨운 나는 애국자가 아니다. 그저 솔직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고 싶은 사람일 뿐이다.
이번 총선에서 여당이 대패했다고 그들은 ‘안 하면 좋을 말들’을 또 지껄이고 있을 것이다. 뭐든 하고 싶은 대로 하면 될 일이지만, 제발 입 좀 다물고 하면 안 될까? 나는 어떤 경우에도 이 나라를 떠날 생각이 없고, 설령 그러고 싶어도 그럴 능력도 없는 사람이다. 우리가 사는 이곳이 저 지경이 된 게 정령 좌파니 우파니 하는 것들 때문일까? 가짜 좌파 가짜 우파 때문은 아닐까? ‘가짜’ 때문은 아닐까? 다 가짜라서 정치적 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닐까? 남베트남에는 저런 가짜들이 사회 곳곳에 우글거렸다는 것을 강연하고 다녔던 이대용 공사는 2017년 11월 14일 영면했다. 그의 목소리가 내게 하는 말이 들리는 듯하다. “내게는 돌아갈 곳이 있었다. 너의 쓸쓸한 마음에게는 있는가?”
그 시절 공산치하 베트남 감옥은 지금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그냥 ‘생지옥’이라고 보면 된다. 많은 죄수들이 자살을 선택했지만, 이대용 공사는 절대 자살만은 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지켰다. 그를 괴롭혔던 건 뱀 쥐 벌레, 배고픔과 어둠, 고문과 절망, 더위와 추위 등등만이 아니었다. 북한이 파견한 공작요원들에게서 북한으로의 망명 자술서를 쓰라는 회유와 협박을 받았다. 이대용은 아직 가족들이 북한에 살고 있는 황해도 출신이었고 현역 준장이었으며 무엇보다 중앙정보부 소속이었다. 그는 6사단 중대장으로서, 북한 전차부대의 진격 기세를 꺾은 국군의 6·25전쟁 첫 승전인 ‘춘천전투’의 주인공이었다. 그의 부대는 110회의 전투를 치르면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 북한으로서는 엄청난 가치를 지닌 포섭 대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대용은 자살에 저항하듯 끝까지 투항을 거부했다.
이대용 장군은 타고난 기록자였다. 회고록 중에는 인상적인 것들이 많다. 남베트남에서 반체제 운동으로 유명했던 교수, 신부, 간첩, 지식인, 자산가, 정치인 등등이 그와 함께 수감돼 있었고 그 지옥에서 사그라들어 죽거나 자살했다. 북베트남이 그들을 그렇게 처리한 명분은 ‘배신자는 또 배신한다’였다. 그들 가운데 하나가 그에게 영혼이 증발해버린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우리는 돌아갈 곳이 없지만, 당신은 있구나.” 1979년 2월 17일 ‘중국-베트남 전쟁’이 터지고 북한이 중국 편을 들자 ‘이대용 문제’는 변화를 맞이한다. 이를 놓치지 않은 대한민국 정부는 유대인 사업가 사울 아이젠버그를 내세워 베트남 정부를 설득해, 이대용 장군은 1980년 4월 2일, 4년 11개월 만에 조국으로 돌아왔다.
그가 견딘 베트남 감옥보다 더 참혹한 감옥이 과거와 현재 북한의 감옥이다. 지난 정권이 2년 정도 지났을 무렵 한 모임에서 내게 인문학 강의를 부탁했다. 의사, 변호사, 전문직, 사업가 등 대부분 부자였고 ‘보수우파’를 자처하는 사람들이었다. 집으로 돌아와 보니 그들의 카톡방에 초대돼 있었고, 본의 아니게 그들이 평소 하는 얘기들을 관람하는 입장이 되었다. 그들은 맘에 안 드는 일이 생길 적마다 미국으로 이민한다거나 그것과 관계되는 정보들을 교환했고, 실지로 ‘여러 가지 양상’으로 그렇게 진행하고 있었다. 나는 조용히 그 카톡방을 나왔다.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이 패배할 거라는 여론조사가 득세하자, 아직 한국에 남아 있는 재산을 미국으로 옮겨야겠다는 대화를 그 모임의 누군가가 내게 캡처해 보내주면서 한탄을 했다.
나는 ‘강남좌파’보다 ‘강남우파’가 더 싫다. 나 같은 가난한 ‘경제적 자유주의자’가 저런 인간들에게 득이 되는 글을 오래도록 신념을 가지고 쓰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북베트남이 베트콩과 남베트남 반체제 인사들을 숙청한 걸 이해하게 만들까봐 무서울 만큼 내 인생을 회의(懷疑)하게 만든다. 강남좌파의 정의로운 척보다 강남우파의 애국자 연극이 역겨운 나는 애국자가 아니다. 그저 솔직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고 싶은 사람일 뿐이다.
이번 총선에서 여당이 대패했다고 그들은 ‘안 하면 좋을 말들’을 또 지껄이고 있을 것이다. 뭐든 하고 싶은 대로 하면 될 일이지만, 제발 입 좀 다물고 하면 안 될까? 나는 어떤 경우에도 이 나라를 떠날 생각이 없고, 설령 그러고 싶어도 그럴 능력도 없는 사람이다. 우리가 사는 이곳이 저 지경이 된 게 정령 좌파니 우파니 하는 것들 때문일까? 가짜 좌파 가짜 우파 때문은 아닐까? ‘가짜’ 때문은 아닐까? 다 가짜라서 정치적 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닐까? 남베트남에는 저런 가짜들이 사회 곳곳에 우글거렸다는 것을 강연하고 다녔던 이대용 공사는 2017년 11월 14일 영면했다. 그의 목소리가 내게 하는 말이 들리는 듯하다. “내게는 돌아갈 곳이 있었다. 너의 쓸쓸한 마음에게는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