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서울' 늘었다더니…"애들 때문에 서울 갑니다" 깜짝 통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02.34375538.1.jpg)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 서울에 전입한 인구는 모두 120만7천명으로 나타났다. 전입 사유로 '교육'을 꼽은 이들은 9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진학·학업·자녀교육 등 '교육' 사유의 서울 전입은 2013년 6만8000명에서 2017년 7만3000명, 2020년 8만8000명으로 늘었다가 코로나19 시기인 2021년 7만6000명으로 줄었다. 이후 2022년 8만3000명, 지난해 9만2000명으로 다시 증가하는 흐름이다.
![서울 대치동 학원가/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ZA.36177977.1.jpg)
서울 자치구별로 교육 사유의 전입을 살펴보면 강남구가 9100명으로 1위였다. 대학가인 관악구는 7300명, 성북구 6900명, 동대문구 6900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노원구 6700명, 동작구 5900명, 서대문구 5200명 순이었다.
교육에 이어 직업 사유로 2013년 26만7000명에서 지난해 29만명으로, 주거환경 사유로는 같은 기간 3만6000명에서 7만6000명으로 10년 사이 증가했다.
내 집 마련, 전·월세 계약 기간 만료 등의 주택 사유 서울 전입은 2013년 68만2000명에서 지난해 38만3000명으로 10년간 29만9000명이 줄었다. 가족 사유도 2013년 32만3000명에서 꾸준히 줄어 2022년 26만5000명, 지난해 27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은 '순 유출'은 서울에서 1990년부터 작년까지 34년째 계속되고 있다. 이 기간 순유출된 인구는 350만6000명이었다.
한편 통계청 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인천·경기지역으로 전입한 인구는 각각 4만5942명과 27만9375명으로 집계됐다. 전입 사유 직업·가족·주택·교육·주거환경·자연환경·기타 등 7가지 전입 사유 가운데 1위는 주택 문제가 차지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