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민 임실군수는 “2019년 선종하신 지정환 신부님께서 1960년대 후반 산양 2마리로 싹틔운 임실군의 치즈 산업은 50년 넘는 세월이 흐르면서 현재는 연간 370억원의 소득을 창출하는 지역 활력 사업으로 성장했다.”며 “임실 치즈 농협을 비롯한 12곳의 유가공 업체들이 50여 낙농가의 4천여두 젖소에서 생산되는 1등급의 신선한 원유를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다양한 치즈와 유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실N치즈로 천만관광 임실시대 연다
임실군은 유제품 전문 유통 마케팅 조직인 ‘임실엔치즈클러스터’와 R&D 및 품질관리 전문 조직인 ‘임실치즈&식품연구소’ 등 분야별 전문 조직을 설립하여, 엄격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통해 유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임실N치즈는 전국 소비자들에게 맛과 품질은 물론 안전먹거리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심 군수는 “임실N치즈의 명성을 이어가고자 저지종 젖소를 도입하여 임실치즈산업 고도화를 역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지종 원유는 홀스타인 원유에 비해 단백질과 지방함유량이 높아 치즈의 맛이 깊고 향이 풍부하여 임실N치즈의 고품질화로 대한민국 치즈산업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간 300만명이 넘는 인원이 해마다 다녀가며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로 유명한 임실치즈테마파크에는 올해 ‘유럽형 장미공원’과 임실 치즈마을과의 상생과 협력을 위한 ‘임실 치즈마을 농촌 테마공원’이 조성되어 ‘임실N치즈축제’와 함께 관광객들에게 더 큰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심 군수는 “우리 군이 가지고 있는 치즈와 아름다운 자연환경, 최신 트랜드를 더한 사업들을 통해 천만관광 임실시대를 만들겠다.”며 임실N치즈의 명성과 섬진강 옥정호 등 지역 관광산업을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음을 밝혔다.

이어서 심 군수는 “임실N치즈 및 유제품의 생산 기반과 판매량 확충에도 힘써 안정적인 생산과 판매 확대를 추진하여 대한민국 대표브랜드라는 확고한 명성을 기반으로 임실N치즈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신성장 동력이 되도록 온 힘을 쏟겠다.”고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