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리스크'에 유독 취약한 원화…"환율 1450원까지 오를 수도" [한경 외환시장 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달러 환율 1400원 터치…역사상 4번째
원·달러 환율 7일 연속 상승
달러 강세에 비해 원화 더 약세
지정학적 불안에 위험회피 커져
원·엔 환율도 902원으로 상승
당국, 18개월 만에 구두개입
중동 확전시 유가급등 가능성
원화 약세 흐름 계속될 수도
일각선 "추세적 상승 어려워"
원·달러 환율 7일 연속 상승
달러 강세에 비해 원화 더 약세
지정학적 불안에 위험회피 커져
원·엔 환율도 902원으로 상승
당국, 18개월 만에 구두개입
중동 확전시 유가급등 가능성
원화 약세 흐름 계속될 수도
일각선 "추세적 상승 어려워"

달러화 강세에 연동된 환율
!['중동 리스크'에 유독 취약한 원화…"환율 1450원까지 오를 수도" [한경 외환시장 워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438629.1.jpg)
달러화 강세는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문제는 지난주 이후 원화 약세가 유독 두드러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날 엔화 환율도 달러당 154.3엔 선에서 거래되며 34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올랐다. 하지만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02원34전으로 전날 대비 2원62전 상승했다. 원화가 엔화보다 더 약했던 것이다. 위안화 역시 달러화 대비 절하 고시됐지만 원·위안화 환율은 오름세를 나타냈다.
원화가 유독 힘을 못 쓴 것은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으로 인한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 때문으로 파악된다. 조윤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달러 강세에 비해 원화가 더 절하된 것은 중동 정세와 관련이 있다”며 “한국 경제의 원유 수입의존도가 굉장히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동 사태가 확전으로 치달을 경우 환율이 더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440원도 열어놔야
시장 전문가들도 환율 전망치를 높이고 있다. 박수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분기 중 원·달러 환율이 142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당국의 개입이 없다면 145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확전 시 유가 급등 가능성이 있다”며 “단기적으로 1400원대 진입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했다.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1440원을 환율 상단으로 제시했다.일각에선 1400원대 환율이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펀더멘털을 보면 위기 상황은 아니다”며 “추세적으로 상승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조윤제 위원도 “경상수지 흑자가 좋아지고 있고, 외환보유액과 전반적인 펀더멘털이 나쁘지 않다”며 “우리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했다.
외환당국 “환율 움직임 예의주시”
이날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찍은 뒤 1390원대에서 움직인 것은 외환당국이 1400원 선을 방어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날 오후 오금화 한국은행 국제국장과 신중범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공동으로 “외환당국은 환율 움직임, 외환 수급 등에 대해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나친 외환시장 쏠림 현상은 우리 경제에 바람직하지 않다”며 공식 구두개입에 나섰다.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을 한 것은 2022년 9월 15일 이후 처음이다.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