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도저히 못 갚겠다"…'떼인 돈' 3.5조 폭증에 난리난 곳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자도 못내는 건설·부동산업계…은행 '깡통 대출' 급증
5대 은행 3조5207억…작년보다 26% 늘어
신한은행만 무수익여신 감소
5대 은행 3조5207억…작년보다 26% 늘어
신한은행만 무수익여신 감소
고금리와 경기 침체 여파로 은행 대출금의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건설·부동산 기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지난해 말 무수익여신은 총 3조5207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 2조7900억원보다 26.2% 증가했다. 무수익여신이란 은행이 원금은 물론이고 이자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이른바 ‘깡통 대출’을 말한다.
5대 은행 중 신한은행을 제외한 모든 은행의 무수익여신이 크게 늘었다. 국민은행은 5221억원에서 7498억원으로 43.6% 증가했고, 하나은행도 6521억원에서 8678억원으로 33.1% 늘었다.
우리은행도 같은기간 4701억원에서 5289억원으로 12.5%, 농협은행은 5130억원에서 7682억원으로 49.7% 각각 늘었다. 신한은행만 6327억원에서 6060억원으로 4.2% 줄었다. 5대 은행이 공개한 '거액 무수익여신 증가업체 현황'에 따르면 건설·부동산업 업체들의 부도나 채무 불이행이 전체 무수익여신 증가를 이끌었다.
5대 은행에서 무수익여신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차주는 예외 없이 건설·부동산업 회사로 분류됐다. 예컨대 국민은행에서는 부동산업을 하는 A 업체에 대한 무수익여신이 1년 새 645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에서는 기타 토목 시설물 건설업을 영위하는 B업체의 무수익여신이 604억원 발생했다.
우리은행에선 아파트 건설업체인 C사에 대한 무수익여신이 720억원으로 새로 잡혔다. 농협은행도 무수익여신이 420억원으로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가 워크아웃으로 채권 재조정이 이뤄진 건설업체였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17일 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지난해 말 무수익여신은 총 3조5207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 2조7900억원보다 26.2% 증가했다. 무수익여신이란 은행이 원금은 물론이고 이자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이른바 ‘깡통 대출’을 말한다.
5대 은행 중 신한은행을 제외한 모든 은행의 무수익여신이 크게 늘었다. 국민은행은 5221억원에서 7498억원으로 43.6% 증가했고, 하나은행도 6521억원에서 8678억원으로 33.1% 늘었다.
우리은행도 같은기간 4701억원에서 5289억원으로 12.5%, 농협은행은 5130억원에서 7682억원으로 49.7% 각각 늘었다. 신한은행만 6327억원에서 6060억원으로 4.2% 줄었다. 5대 은행이 공개한 '거액 무수익여신 증가업체 현황'에 따르면 건설·부동산업 업체들의 부도나 채무 불이행이 전체 무수익여신 증가를 이끌었다.
5대 은행에서 무수익여신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차주는 예외 없이 건설·부동산업 회사로 분류됐다. 예컨대 국민은행에서는 부동산업을 하는 A 업체에 대한 무수익여신이 1년 새 645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에서는 기타 토목 시설물 건설업을 영위하는 B업체의 무수익여신이 604억원 발생했다.
우리은행에선 아파트 건설업체인 C사에 대한 무수익여신이 720억원으로 새로 잡혔다. 농협은행도 무수익여신이 420억원으로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가 워크아웃으로 채권 재조정이 이뤄진 건설업체였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