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었던 중국이 이럴 줄은"…'세계 1위' 명품 기업도 '직격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디올·루이비통 힘 못쓰네…LVMH, 中 꺾이자 함께 꺾였다
매출 1년 전 18% 늘었는데…올 1분기엔 2% 감소
매출 1년 전 18% 늘었는데…올 1분기엔 2% 감소
시가총액 기준 세계 1위 명품 기업인 루이비통모엣헤네시(LVMH)의 올해 1분기 매출이 2%(전년 동기 대비) 뒷걸음질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보복 소비’ 열풍과 중국 리오프닝에 힘입어 성장 가도를 달려오던 글로벌 명품 산업이 중국발 수요 둔화로 급격하게 침체하는 모습이다.
LVMH는 올해 1~3월 매출이 206억9400만유로(약 30조4000억원)로 집계됐다고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금융정보업체 비저블알파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211억4000만유로)를 밑도는 수준이다.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해선 2% 감소했다. 분기 기준 변동률로는 2021년 초 이후 최악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했다. 최대 사업부인 패션·가죽제품 부문 매출이 2% 감소했고, 시계·주얼리 매출도 5% 줄었다. 감소 폭이 가장 컸던 부문은 와인·주류(-16%)였다.
LVMH의 분기 매출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18%, 2분기 21%로 두 자릿수를 유지했지만, 하반기부터 9% 수준으로 꺾이기 시작했다. 최대 고객인 중국의 경기 침체가 결정적이었다. 올해 1분기 미국·유럽에서 LVMH의 매출은 2% 늘었지만, 아시아(일본 제외)에선 6% 감소했다. 반면 일본에선 엔저(엔화 약세) 영향으로 32%의 이례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LVMH는 주요 브랜드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 자크 귀오니 LVMH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메인 브랜드인 디올과 루이비통의 매출 증가율이 “2% 언저리에서 정체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작년과 가장 큰 차이점은 중국 고객의 변화”라며 “아시아 최대 시장(중국)에서의 성장세가 정상화(둔화의 의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금리에 짓눌려 있던 ‘열망 소비자’(MZ세대나 중산층 등 소득 수준이 비교적 낮지만 명품 소비를 열망하는 이들)들이 돌아오면서 실적은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몇 개 분기 또는 수년에 걸쳐 매우 느리게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명품 산업 전반에 대한 전망이 그리 밝지 않은 데서 나오는 진단이다. 팬데믹을 계기로 촉발됐던 ‘럭셔리 붐’은 완전히 종식됐다는 평가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지난해 8~10% 수준이었던 명품 시장 성장률이 올해는 1~4%까지 반토막 날 것으로 내다봤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LVMH는 올해 1~3월 매출이 206억9400만유로(약 30조4000억원)로 집계됐다고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금융정보업체 비저블알파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211억4000만유로)를 밑도는 수준이다.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해선 2% 감소했다. 분기 기준 변동률로는 2021년 초 이후 최악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전했다. 최대 사업부인 패션·가죽제품 부문 매출이 2% 감소했고, 시계·주얼리 매출도 5% 줄었다. 감소 폭이 가장 컸던 부문은 와인·주류(-16%)였다.
LVMH의 분기 매출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18%, 2분기 21%로 두 자릿수를 유지했지만, 하반기부터 9% 수준으로 꺾이기 시작했다. 최대 고객인 중국의 경기 침체가 결정적이었다. 올해 1분기 미국·유럽에서 LVMH의 매출은 2% 늘었지만, 아시아(일본 제외)에선 6% 감소했다. 반면 일본에선 엔저(엔화 약세) 영향으로 32%의 이례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LVMH는 주요 브랜드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 자크 귀오니 LVMH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메인 브랜드인 디올과 루이비통의 매출 증가율이 “2% 언저리에서 정체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작년과 가장 큰 차이점은 중국 고객의 변화”라며 “아시아 최대 시장(중국)에서의 성장세가 정상화(둔화의 의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금리에 짓눌려 있던 ‘열망 소비자’(MZ세대나 중산층 등 소득 수준이 비교적 낮지만 명품 소비를 열망하는 이들)들이 돌아오면서 실적은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몇 개 분기 또는 수년에 걸쳐 매우 느리게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명품 산업 전반에 대한 전망이 그리 밝지 않은 데서 나오는 진단이다. 팬데믹을 계기로 촉발됐던 ‘럭셔리 붐’은 완전히 종식됐다는 평가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지난해 8~10% 수준이었던 명품 시장 성장률이 올해는 1~4%까지 반토막 날 것으로 내다봤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