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주택을 살 의향이 있는 2030세대 네 명 중 세 명은 최소 2년 이후에야 집을 구매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2030세대의 절반 이상이 현재 집값을 ‘고점’으로 인식한 결과로 풀이된다.

신한은행은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2024’를 발간했다. 작년 10~11월 전국 20~64세 경제활동인구 1만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집값 고점이라는 MZ세대…"2년내 집 살 생각 없다"
조사 결과 2030세대 중 향후 부동산 구입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54.9%로 집계됐다. 부동산 구입 의향이 있는 2030세대 중 2년 내에 주택을 구입하겠다고 밝힌 경우는 23.5%에 불과했다. 나머지 76.5%는 2년 이후에 주택을 구매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1년 이내에 주택을 구입하겠다고 응답한 2030세대가 6.5%, 1~2년 이내는 17%, 2~3년 이내는 19.9%, 3~5년 이내 24.5%, 5년 이후 32.1% 등이다.

현재 집값 수준에 대한 인식은 세대별로 차이가 컸다. 2030세대의 50.5%는 조사 당시 집값을 고점으로 인식했지만, 4060세대는 37.5%만 집값을 고점으로 봤다. 반면 집값이 ‘저점’이라고 인식한 비중은 2030세대가 24.6%로, 4060세대(38.3%)와 비교해 13.7%포인트 낮았다.

주택 관련 원리금 부담은 커졌다. 월평균 주택담보대출(전·월세 자금 대출 포함) 상환액은 2022년 26만원에서 지난해 29만원으로 3만원(11.5%) 증가했다. 주담대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대출 원리금은 전년 대비 감소하거나 동일하게 유지됐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개인의 저축·투자는 안정적인 성향이 강화됐다. 월평균 저축·투자액이 2022년 100만원에서 지난해 105만원으로 5% 늘어난 가운데 주식, 펀드와 같은 ‘투자상품’의 월평균 투자액은 1년 새 11만원에서 10만원으로 줄었다.

월평균 보험 저축액은 같은 기간 34만원에서 38만원으로 4만원(11.8%) 늘었다. 언제든 현금화할 수 있는 수시입출금·종합자산관리계좌(CMA) 저축액도 월평균 16만원에서 17만원으로 증가했다. 적금·청약저축액은 39만원에서 40만원으로 늘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