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적립금이 지난 한 해 동안 3배 넘게 성장했다. 가입자 수도 630만명을 넘어섰다. 다만 여전히 초저위험 상품 적립금 비중이 88%에 달하는 만큼 원리금 보장상품에 편중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18일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적립금은 40조670억원으로 전년 동기(12조5520억원) 대비 219% 증가했다. 지정가입자 수도 631만명으로 같은 기간 32% 늘었다.디폴트옵션은 근로자가 본인의 퇴직연금 적립금을 운용할 금융상품을 결정하지 않을 경우, 사전에 지정된 금융 상품에 적립금이 자동 운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이 해당한다. 현재 41개 금융기관의 315개 상품이 정부 승인을 받아 판매·운용 중이다.당국은 디폴트옵션이 "지난해 불안정한 금융시장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이며 퇴직연금 시장에서의 상품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실제 고위험, 중위험 상품군은 지난 1년 수익률이 각각 16.83%, 11.77%로 10%를 초과했다. 저위험과 초저위험의 1년 수익률은 7.20%, 3.32% 수준에 그쳤다.다만 전체 적립금 중 88%에 달하는 35조3386억원이 원리금 보장상품인 초저위험상품에 편중돼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당국은 올해 공시부터 개별 금융기관의 위험등급별 적립금(판매) 비중을 추가로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은 원리금보장상품의 편중 정도를 알려 가입자에게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한다는 취지다.또한 오는 4월부터 모든 디폴트옵션의 상품 명칭
지난해 유가증권·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종목 10개 중 7개의 주가(연말 기준)는 공모가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공개(IPO) 공모금액은 전년 대비 소폭 늘었지만, 하반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투자심리는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18일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IPO 시장동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작년 유가증권·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77개 종목 중 56종목(72.7%)의 연말 주가는 공모가보다 낮았다. 이들의 손실률은 17.9%로 최근 5년(2020~2024년) 중 가장 부진했다.상장 당일 공모가 아래서 마감한 종목도 24개(31.1%)에 달했다. 공모가 대비 시초가 수익률은 2023년 82%에서 작년 65%로 17%포인트 낮아졌다. 종가 수익률도 72%에서 42%로 30%포인트 하락했다.공모가가 희망 범위 상단에서 결정된 비율은 66%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기관 투자자가 희망 가격을 밴드 상단보다 높게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 비중도 2023년 70%에서 작년 83.8%로 13.8%포인트 높아졌다. 역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상반기에는 상장사 93%의 공모가가 밴드 위에서 결정됐지만, 하반기엔 50% 수준으로 낮아졌다. 옥석 가리기가 심화하면서다.기관 투자자 배정 물량 중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18.1%로 전년 대비 8.3%포인트 낮아졌다. 유가증권시장의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전년 대비 24.8%포인트 높아졌지만, 코스닥 시장의 확약 비율이 27%에서 15.8%로 하락한 탓이다. 5년 내 최저 수준이다. 확약건 중 기간은 3개월(45.8%)이 가장 많았다.작년 공모금액은 3조9000억원으로 전년(3조3000억원) 대비 16.4% 늘었다. 다만 IPO 건수는 82건에서 77건으로 소폭 감소했다. 코스닥을 중심으로 한 중소형 IPO(100억~500억원)가 대부분이었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와 코스닥이 하락세로 돌아섰다.18일 오전 11시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54포인트(0.1%) 내린 2607.88을 가리키고 있다. 장 초반 2618.34까지 오르며 출발했지만, 오전 9시50분께 하락 전환한 후 2600선에 머무르고 있다.유가증권 시장에서 외국인은 홀로 2445억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757억원, 604억원을 순매수하는 중이다.시가총액 상위주 흐름은 엇갈리고 있다. SK하이닉스(-2.36%), LG에너지솔루션(-1.27%), 셀트리온(-1.16%), 삼성바이오로직스(-0.42%)는 하락 중이다. 반면 KB금융(1.11%), 삼성물산(0.69%), HD현대중공업(0.61%)은 오르고 있다.LIG넥스원(12.48%), 한국항공우주(8.66%), 현대로템(5.85%) 등 방산주는 불을 뿜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9.53%)는 장중 유가증권시장 시총 10위에 오르기도 했다. 한국산 무기 수출 기대감이 커지면서다. 유럽 정상들이 1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유럽의 방위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때문에 유럽 증시에서도 방산주는 강세를 보였다.코스닥은 전일 대비 0.41포인트(0.05%) 밀린 768.07을 가리키고 있다. 코스닥도 상승 출발했지만, 장중 하락 전환한 후 760선을 횡보하고 있다.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은 홀로 984억원을 순매도하는 중이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036억원, 18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코스닥 시총 상위주는 대부분 하락하고 있다. 알테오젠(-1.88%), 리가켐바이오(-1.88%), 휴젤(-1.74%), 삼천당제약(-1.71%), 에코프로(-1.44%), 에코프로비엠(-1.38%), 클래시스(-1.23%), 코오롱티슈진(-0.9%)가 파란불을 켰다. 반대로 레인보우로보틱스(4.01%), 파마리서치(1.92%)는 오르고 있다.원·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