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듣는 순간 눈물이…파바로티의 '남몰래 흘리는 눈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리아 아모레
도니체티 오페라 '사랑의 묘약'의 명곡
하프가 깔리고 플루트가 화려한 전주
은은한 바순 선율 들으면 묘한 마법 빠져
바순은 순진무구한 네모리노의 모습
구슬픈 사랑의 찬가에 가슴이 적셔온다
도니체티 오페라 '사랑의 묘약'의 명곡
하프가 깔리고 플루트가 화려한 전주
은은한 바순 선율 들으면 묘한 마법 빠져
바순은 순진무구한 네모리노의 모습
구슬픈 사랑의 찬가에 가슴이 적셔온다
수많은 오페라 아리아 중에서 각인 효과가 뛰어난 제목 셋을 고른다면? ‘그대의 찬 손’과 ‘별은 빛나건만’, 그리고 ‘남몰래 흘리는 눈물’이 아닐까. ‘그대의 찬 손’은 푸치니의 ‘라보엠’ 1막에, 역시 푸치니 곡 ‘별은 빛나건만’은 오페라 토스카 막판에 나온다.
그리고 오늘의 노래 ‘남몰래 흘리는 눈물(Una Furtiva Lagrima)’. 도니체티(Gaetano Donizetti·1797~1848·伊)가 만든 오페라 ‘사랑의 묘약/L’elisir D’amore’을 관통하는 명곡(名曲)이다. 이 아리아를 둘러싼 일반 대중의 스펙트럼은 크게 셋일 것이다. 제목만 알거나 들어본 부류, 첫 소절 ‘우나 푸르티바 라그리마’와 곡조를 대충이라도 아는 축, 그리고 제목·악곡·배경을 모두 꿰차고 있는 실력자들. 당신이 만약 이 순간까지 앞의 둘에 속한다면 오늘이야말로 무지(無知)의 갑옷을 벗을 수 있는 절호의 찬스다.
우선 전주(前奏)가 기가 막히다. 바순이 분위기를 잡으며 하프가 은은히 깔린다. 플루트가 화려하고, 오보가 정감 있고, 클라리넷이 변화무쌍하다면 바순은 질박·단순하다. 악단에서도 앞줄 왼쪽이 플루트, 오른쪽이 오보. 뒷줄은 좌(左)가 클라리넷, 우(右)가 바순 아니던가. 마이너가 분명한 그 바순 선율을 듣노라면 묘한 마법에 끌리며 가슴속이 적셔온다.
바순은 바로 주인공 네모리노의 모습이다. 네모리노는 누구인가? 1970~1980년대만 하더라도 이 땅의 웬만한 동네에는 소위 ‘바보’라 불리는 친구가 하나둘씩 꼭 있었다. 칠복이·삼룡이·만득이 등등. 순진무구한 영혼들! 이들은 착했으나 자신의 주제를 모르는, 곧 자기객관화 설정과 구동이 안 되는 공통점이 있었다. 네모리노가 그랬다.
200년 전 스페인 어느 시골 마을. 빼어난 미모에 집안도 좋은 아디나는 선망의 대상. 청년 소작농 네모리노는 언감생심 그녀를 사모한다. 어느 날 가짜 약장수, 둘카마라가 나타나 한 모금 마시기만 하면 서로 사랑에 빠진다는 ‘사랑의 묘약’을 파는데, 여기 매달린다. 해법은 묘한 데서 풀린다. 대처에 살던 삼촌이 막대한 유산을 네모리노에게 물려준 것. 금상첨화라 했던가? 아디나는 네모리노가 군인이 되면 주는 지원금으로 약을 사기 위해 입대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듣고 감격한다. 이때 절로 눈가에 이슬이 맺히는데 그 모습을 보고 네모리노가 부르는 노래가 ‘남몰래 흘리는 눈물’이다.
“그녀가 자기도 모르게 눈물을 흘려요/나를 사랑하는 게 느껴져요/나만큼이나 그녀도 가슴이 떨리나 봐요/그녀의 숨결이 나의 호흡과 하나가 되고 있어요/아, 그녀가 나를 사랑하다니/나는 이제 죽어도 좋아요”. 구슬픈 사랑의 찬가! 역설의 미학이다.
강성곤 음악 칼럼니스트·전 KBS 아나운서
그리고 오늘의 노래 ‘남몰래 흘리는 눈물(Una Furtiva Lagrima)’. 도니체티(Gaetano Donizetti·1797~1848·伊)가 만든 오페라 ‘사랑의 묘약/L’elisir D’amore’을 관통하는 명곡(名曲)이다. 이 아리아를 둘러싼 일반 대중의 스펙트럼은 크게 셋일 것이다. 제목만 알거나 들어본 부류, 첫 소절 ‘우나 푸르티바 라그리마’와 곡조를 대충이라도 아는 축, 그리고 제목·악곡·배경을 모두 꿰차고 있는 실력자들. 당신이 만약 이 순간까지 앞의 둘에 속한다면 오늘이야말로 무지(無知)의 갑옷을 벗을 수 있는 절호의 찬스다.
우선 전주(前奏)가 기가 막히다. 바순이 분위기를 잡으며 하프가 은은히 깔린다. 플루트가 화려하고, 오보가 정감 있고, 클라리넷이 변화무쌍하다면 바순은 질박·단순하다. 악단에서도 앞줄 왼쪽이 플루트, 오른쪽이 오보. 뒷줄은 좌(左)가 클라리넷, 우(右)가 바순 아니던가. 마이너가 분명한 그 바순 선율을 듣노라면 묘한 마법에 끌리며 가슴속이 적셔온다.
바순은 바로 주인공 네모리노의 모습이다. 네모리노는 누구인가? 1970~1980년대만 하더라도 이 땅의 웬만한 동네에는 소위 ‘바보’라 불리는 친구가 하나둘씩 꼭 있었다. 칠복이·삼룡이·만득이 등등. 순진무구한 영혼들! 이들은 착했으나 자신의 주제를 모르는, 곧 자기객관화 설정과 구동이 안 되는 공통점이 있었다. 네모리노가 그랬다.
200년 전 스페인 어느 시골 마을. 빼어난 미모에 집안도 좋은 아디나는 선망의 대상. 청년 소작농 네모리노는 언감생심 그녀를 사모한다. 어느 날 가짜 약장수, 둘카마라가 나타나 한 모금 마시기만 하면 서로 사랑에 빠진다는 ‘사랑의 묘약’을 파는데, 여기 매달린다. 해법은 묘한 데서 풀린다. 대처에 살던 삼촌이 막대한 유산을 네모리노에게 물려준 것. 금상첨화라 했던가? 아디나는 네모리노가 군인이 되면 주는 지원금으로 약을 사기 위해 입대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듣고 감격한다. 이때 절로 눈가에 이슬이 맺히는데 그 모습을 보고 네모리노가 부르는 노래가 ‘남몰래 흘리는 눈물’이다.
“그녀가 자기도 모르게 눈물을 흘려요/나를 사랑하는 게 느껴져요/나만큼이나 그녀도 가슴이 떨리나 봐요/그녀의 숨결이 나의 호흡과 하나가 되고 있어요/아, 그녀가 나를 사랑하다니/나는 이제 죽어도 좋아요”. 구슬픈 사랑의 찬가! 역설의 미학이다.
강성곤 음악 칼럼니스트·전 KBS 아나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