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 위협"…美·中 '고삐 풀린' 나랏빚 경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선진국 국가부채 평균치의 3배
G2 재정적자 GDP 7% 넘을 듯
G2 재정적자 GDP 7% 넘을 듯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선진국 평균의 세 배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이 경고했다. 중국, 영국, 이탈리아 등 주요국의 재정 상황도 악화해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IMF는 17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에서 내년 미국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을 7.1%로 추정했다. 선진국 평균치인 2%를 세 배 이상 웃돈다. 앞서 미국 의회 산하 독립 감시기구인 의회예산국(CBO)은 작년 말 기준 미 연방정부의 부채 부담이 26조2000억달러(약 3경6000조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GDP의 97% 수준이다. CBO는 2029년 미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이 2차 세계대전 때 기록한 역대 최고 수준인 116%를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채 이자는 2026년을 기점으로 1조달러(약 1380조원)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다.
피에르-올리비에르 고린차스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은 놀라울 정도로 많은 양의 채무를 불이행했고, 이에 대해 특히 우려스럽다”며 “물가상승률을 목표 수준인 2%까지 낮추려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이 시사한 대로 고금리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IMF는 국가의 재정적자가 근원 물가(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에 0.5%포인트만큼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고린차스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부채 위기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론 세계 경제 전체의 재정·금융 안정성에 중대한 위협을 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큰 폭으로, 갑작스럽게 오르면 전 세계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신흥·개발도상국 환율이 급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IMF는 미 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마다 선진국과 신흥국 금리는 각각 0.9%포인트, 1%포인트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재정 위기에 처한 건 미국만이 아니다. 중국 역시 내년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7.6%로, 신흥국 평균(3.7%)의 두 배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미국과 중국, 영국, 이탈리아를 “정부 지출과 수입 사이 근본적인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가 필요한 나라”라고 분류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IMF는 17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에서 내년 미국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을 7.1%로 추정했다. 선진국 평균치인 2%를 세 배 이상 웃돈다. 앞서 미국 의회 산하 독립 감시기구인 의회예산국(CBO)은 작년 말 기준 미 연방정부의 부채 부담이 26조2000억달러(약 3경6000조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GDP의 97% 수준이다. CBO는 2029년 미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이 2차 세계대전 때 기록한 역대 최고 수준인 116%를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채 이자는 2026년을 기점으로 1조달러(약 1380조원)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다.
피에르-올리비에르 고린차스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은 놀라울 정도로 많은 양의 채무를 불이행했고, 이에 대해 특히 우려스럽다”며 “물가상승률을 목표 수준인 2%까지 낮추려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이 시사한 대로 고금리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IMF는 국가의 재정적자가 근원 물가(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에 0.5%포인트만큼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고린차스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부채 위기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론 세계 경제 전체의 재정·금융 안정성에 중대한 위협을 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큰 폭으로, 갑작스럽게 오르면 전 세계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신흥·개발도상국 환율이 급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IMF는 미 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마다 선진국과 신흥국 금리는 각각 0.9%포인트, 1%포인트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재정 위기에 처한 건 미국만이 아니다. 중국 역시 내년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7.6%로, 신흥국 평균(3.7%)의 두 배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미국과 중국, 영국, 이탈리아를 “정부 지출과 수입 사이 근본적인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가 필요한 나라”라고 분류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