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가 집 같다"…닮은꼴 '영어 달인' 한·일 중앙은행장 [강진규의 BOK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계속 이 총재님(Governor Rhee)이라고 부를 거에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춘계 회의에서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 국장과 대담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스리니바산 국장이 "이 총재님, 와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정중한 인사말을 건낸 직후였다. 이 총재는 "그렇게 부르지 말아달라"고 했지만 스리니바산 국장은 "공식 행사니까 그렇게 부르겠다"고 팽팽히(?) 맞섰다.
이 총재는 "오랜 친구들과 동료들을 만나서 반갑다"며 "집에 온 기분"이라고 인사를 건넸다. 그러면서 "여러분의 교육과 지식들 덕분에 이 자리에 있는 것"이라며 "동시에 그런 것에 대해 교육비를 내기보다는 보수를 잘 받고 다녔다"고 농담하자 좌중에 웃음이 나왔다.
이 총재가 IMF를 '집'이라고 한 이유는 지난 2014년부터 8년 간 몸담은 기관이어서다. 이 총재는 한은 총재로 임명된 2022년까지 아태국장으로 일했다.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를 거친 후 이동한 것이었다.
IMF 아·태국장은 아시아 국가에 대한 경제·금융 상황 감시와 비상시 구제금융을 포함한 지원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IMF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사람 중 선택되는 경우가 일반적인 중요한 자리다. 이런 자리에 외부 출신인 그가 발탁된 것은 이례적이었다. 스리니바산 국장은 당시 아태국 부국장으로 이 총재와 함께 일했다. 말하자면 과거의 상사를 만난 것이다.
이 총재는 대담에서 일종의 '약속 대련'을 공개하기도 했다. 가계부채 문제 등에 관한 스리니바산 국장의 질문에 "한국 정부는 다른 선진국과 달리 재정건전성을 중시하고 있다. 이런 기조가 계속되기를 바란다"고 답변한 후, "그에게 이 주제에 대해 크게 말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의 티격태격은 마지막까지 이어졌다. 스리니바산 국장이 "총재님 대단히 감사합니다"라고 입을 떼자 이 총재는 바로 "어허~(Come on~) 그렇게 부르지 말라니까"라고 했다. "공식 행사라서 그렇게 불러야한다"는 스리니바산 국장의 응수에 이 총재가 한발 물러서는 것으로 대담이 마무리됐다.
이날 대담에서는 이 총재의 답변 내용뿐 아니라 유창한 영어실력을 바탕으로 한 농담에도 관심이 모아졌다. 중앙은행 총재들은 인터뷰나 대담에서 대부분 딱딱한 표정으로 진지한 답변을 내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총재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거나, 농담을 건네는 경우가 많다. 이번 대담에서는 오래 근무했던 곳에서 과거의 동료들과 만난만큼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연스러운 발언이 많이 나왔던 것으로 보인다.
작년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도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조섞인 농담을 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작년 6월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포럼에 참석해 "다른 중앙은행들은 디지털 화폐 같은 것을 추진한다고 하더라. 우리는 반대로 내년에 새 지폐를 출시해서 신뢰를 끌어올릴까 한다"며 디지털 전환이 뒤쳐진 일본의 실상을 얘기하는가 하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출장과 기자회견이 많을 줄 몰랐다"고 답해 웃음을 유발하기도 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춘계 회의에서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 국장과 대담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스리니바산 국장이 "이 총재님, 와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정중한 인사말을 건낸 직후였다. 이 총재는 "그렇게 부르지 말아달라"고 했지만 스리니바산 국장은 "공식 행사니까 그렇게 부르겠다"고 팽팽히(?) 맞섰다.
이 총재는 "오랜 친구들과 동료들을 만나서 반갑다"며 "집에 온 기분"이라고 인사를 건넸다. 그러면서 "여러분의 교육과 지식들 덕분에 이 자리에 있는 것"이라며 "동시에 그런 것에 대해 교육비를 내기보다는 보수를 잘 받고 다녔다"고 농담하자 좌중에 웃음이 나왔다.
이 총재가 IMF를 '집'이라고 한 이유는 지난 2014년부터 8년 간 몸담은 기관이어서다. 이 총재는 한은 총재로 임명된 2022년까지 아태국장으로 일했다.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를 거친 후 이동한 것이었다.
IMF 아·태국장은 아시아 국가에 대한 경제·금융 상황 감시와 비상시 구제금융을 포함한 지원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IMF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사람 중 선택되는 경우가 일반적인 중요한 자리다. 이런 자리에 외부 출신인 그가 발탁된 것은 이례적이었다. 스리니바산 국장은 당시 아태국 부국장으로 이 총재와 함께 일했다. 말하자면 과거의 상사를 만난 것이다.
이 총재는 대담에서 일종의 '약속 대련'을 공개하기도 했다. 가계부채 문제 등에 관한 스리니바산 국장의 질문에 "한국 정부는 다른 선진국과 달리 재정건전성을 중시하고 있다. 이런 기조가 계속되기를 바란다"고 답변한 후, "그에게 이 주제에 대해 크게 말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의 티격태격은 마지막까지 이어졌다. 스리니바산 국장이 "총재님 대단히 감사합니다"라고 입을 떼자 이 총재는 바로 "어허~(Come on~) 그렇게 부르지 말라니까"라고 했다. "공식 행사라서 그렇게 불러야한다"는 스리니바산 국장의 응수에 이 총재가 한발 물러서는 것으로 대담이 마무리됐다.
이날 대담에서는 이 총재의 답변 내용뿐 아니라 유창한 영어실력을 바탕으로 한 농담에도 관심이 모아졌다. 중앙은행 총재들은 인터뷰나 대담에서 대부분 딱딱한 표정으로 진지한 답변을 내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총재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거나, 농담을 건네는 경우가 많다. 이번 대담에서는 오래 근무했던 곳에서 과거의 동료들과 만난만큼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연스러운 발언이 많이 나왔던 것으로 보인다.
작년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도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조섞인 농담을 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작년 6월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포럼에 참석해 "다른 중앙은행들은 디지털 화폐 같은 것을 추진한다고 하더라. 우리는 반대로 내년에 새 지폐를 출시해서 신뢰를 끌어올릴까 한다"며 디지털 전환이 뒤쳐진 일본의 실상을 얘기하는가 하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출장과 기자회견이 많을 줄 몰랐다"고 답해 웃음을 유발하기도 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