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농가 수 '100만 가구' 첫 붕괴…농촌 소멸 현실화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발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50% 돌파
'200만→100만' 39년 걸렸지만…속도 더 빨라질듯
어업·임업 상황도 비슷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50% 돌파
'200만→100만' 39년 걸렸지만…속도 더 빨라질듯
어업·임업 상황도 비슷

통계청은 1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농촌 소멸은 갈수록 빠르게 진행될 것이란 관측이다. 농가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49.8%에서 지난해 52.6%로 2.8%포인트 올라 과반을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 전체 인구에서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18.2%)보다 세 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농가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3년(27.8%)에서 2013년(37.3%)까지 10년간 9.5%포인트 올랐지만,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는 10년 동안엔 15.3%포인트 증가했다.
‘65세 이상’으로 분류되지만 사실상 농촌 중심 세대는 70대 이상으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기준 농가 경영주는 70세 이상이 전체의 47.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농가인구에서도 70세 이상이 전체의 36.7%로 가장 많았다.
임가 수는 지난해 9만9200가구로 전년(10만600가구) 대비 1.4% 줄었다. 고령인구 비율은 48.8%에서 52.8%로 4.0% 포인트 높아졌다. 임가 인구는 21만100명에서 20만4300명으로 2.7% 감소했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