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금리 20배 올린 게 0.02%…꿈쩍 않은 日국민들 [김일규의 재팬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은행, 마이너스 금리 해제 한 달...예금·대출 창구 한산
은행 예금금리 0.001→0.02%, 대출 금리보단 엔저에 촉각
엔저 지속 전망..."수입물가 자극하면 추가 금리 인상"
은행 예금금리 0.001→0.02%, 대출 금리보단 엔저에 촉각
엔저 지속 전망..."수입물가 자극하면 추가 금리 인상"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해제하고,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한 지 19일로 한 달이다. 오랜 만에 ‘금리 있는 세상’을 만났지만, 기업과 개인은 별 움직임이 없다. 오히려 외환시장에서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엔저가 진행되는 ‘예상 밖’ 전개가 나타나고 있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마이너스 금리 해제 후 금융기관들은 잇따라 예금 금리를 인상했다. 미쓰비시UFJ은행 등이 정기예금 금리를 0.001%에서 0.02%로 인상했다. 지방은행은 지난 17일까지 총 99곳이 일제히 정기예금 금리를 올렸다.
상당수 은행이 지점 평가 항목에 ‘예금 증액’을 추가하는 등 그동안 소홀히 했던 예금 유치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예금 금리를 올려도 예금액이 크게 늘지 않는 모습이다.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는 만큼 빨리 갚으려는 움직임이 예상되지만, 역시 별 변화가 없다. 미즈호은행 담당자는 “금리 인상을 예상한 조기 상환 등 움직임은 현재로서 제한적”이라며 “향후 금리 부담을 걱정하는 콜센터 문의는 수십 건 정도에 그쳤다”고 말했다.
금리 상승을 우려하는 기업들은 변동금리 차입금을 현재 금리 수준으로 고정하는 금리 스와프를 활용한다. 역시 눈에 띄게 이용이 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전언이다. 대형 은행 영업 담당자는 “금리 전망을 물어볼 줄 알았는데 오히려 환율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 놀랐다”고 말했다. 특히 수입 기업들은 금리 상승보다 엔저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이너스 금리 해제 전날인 지난달 18일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49엔대였다. 마이너스 금리 해제 후 외환시장은 엔화 강세를 전망했지만, 오히려 엔·달러 환율은 154엔대까지 치솟아 엔화 가치가 34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일본은행이 “당분간 완화적인 금융환경이 지속될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하는 반면, 미국 중앙은행(Fed)의 조기 금리 인하 관측은 후퇴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이가 좁혀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엔화 약세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행에서도 “미국이 금리 인하 국면에 접어들지 않으면 엔저 구도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일본 재무성의 외환시장 개입 관측도 강해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히려 엔저가 물가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칠 경우 통화정책 대응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큰 폭의 엔화 약세로 수입물가 상승이 가속하면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익일물 금리스와프(OIS) 시장에서는 7월에 일본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확률을 70% 정도로 보고 있다.
일본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시중은행 역시 단기 대출 기준이 되는 단기 프라임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 이는 개인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와 중소기업 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다음 금리 인상은 국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마이너스 금리 해제 때와는 또 다른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마이너스 금리 해제 후 금융기관들은 잇따라 예금 금리를 인상했다. 미쓰비시UFJ은행 등이 정기예금 금리를 0.001%에서 0.02%로 인상했다. 지방은행은 지난 17일까지 총 99곳이 일제히 정기예금 금리를 올렸다.
상당수 은행이 지점 평가 항목에 ‘예금 증액’을 추가하는 등 그동안 소홀히 했던 예금 유치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예금 금리를 올려도 예금액이 크게 늘지 않는 모습이다.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는 만큼 빨리 갚으려는 움직임이 예상되지만, 역시 별 변화가 없다. 미즈호은행 담당자는 “금리 인상을 예상한 조기 상환 등 움직임은 현재로서 제한적”이라며 “향후 금리 부담을 걱정하는 콜센터 문의는 수십 건 정도에 그쳤다”고 말했다.
금리 상승을 우려하는 기업들은 변동금리 차입금을 현재 금리 수준으로 고정하는 금리 스와프를 활용한다. 역시 눈에 띄게 이용이 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전언이다. 대형 은행 영업 담당자는 “금리 전망을 물어볼 줄 알았는데 오히려 환율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 놀랐다”고 말했다. 특히 수입 기업들은 금리 상승보다 엔저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이너스 금리 해제 전날인 지난달 18일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49엔대였다. 마이너스 금리 해제 후 외환시장은 엔화 강세를 전망했지만, 오히려 엔·달러 환율은 154엔대까지 치솟아 엔화 가치가 34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일본은행이 “당분간 완화적인 금융환경이 지속될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하는 반면, 미국 중앙은행(Fed)의 조기 금리 인하 관측은 후퇴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이가 좁혀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엔화 약세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행에서도 “미국이 금리 인하 국면에 접어들지 않으면 엔저 구도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일본 재무성의 외환시장 개입 관측도 강해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히려 엔저가 물가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칠 경우 통화정책 대응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큰 폭의 엔화 약세로 수입물가 상승이 가속하면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익일물 금리스와프(OIS) 시장에서는 7월에 일본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확률을 70% 정도로 보고 있다.
일본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시중은행 역시 단기 대출 기준이 되는 단기 프라임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 이는 개인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와 중소기업 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다음 금리 인상은 국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마이너스 금리 해제 때와는 또 다른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쿄=김일규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