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펀드 1000조원 시대…공모펀드는 '고사 직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액 자산가 대상 사모펀드만 '활황'
미국 호주 등 자본시장 선진국의 공통점은 공모펀드 시장이 튼튼하다는 것이다. 전문가에게 돈을 맡겨 돈을 불리는 펀드가 ‘증시 안전판’ 역할을 하면서 가계 자산 증식과 기업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잘 구축돼 있다. 한국 펀드시장도 지난 몇 년간 고성장했지만, 과실은 투자자에게 고루 돌아가지 못했다. 일부 고액 자산가만 가입할 수 있는 사모펀드 시장으로 성장축이 기울어진 탓이다.
1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국내 전체 펀드 순자산액은 1052조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순자산총액 500조원을 달성하기까지 47년이 걸렸지만, 7년 만에 두 배인 1000조원을 넘어섰다.
펀드시장의 급성장은 사모펀드가 이끌었다. 사모펀드 규모는 10년 전 176조원에서 현재 635조원으로 260% 늘었다. 같은 기간 공모펀드 순자산은 198조원에서 417조원으로 1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공모와 사모의 비중은 2014년까지만 해도 5.3 대 4.7로 공모가 높았지만, 현재는 3.7 대 6.3으로 역전됐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기 때문에 메자닌, 선물옵션, 부동산 대체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하지만 서민에겐 ‘그림의 떡’이다. 전문투자자가 아닌 일반투자자가 사모펀드에 가입하려면 최소 3억원의 현금이 필요하고 판매사에 따라선 전문투자자가 아니면 아예 받지 않는다. 전문투자자가 되려면 최근 5년 중 1년 이상 월말 평균잔액 5000만원 이상, 금융투자상품 계좌 개설 1년 이상 등 까다로운 조건을 갖춰야 한다.
정작 국내 증시의 안전판 역할을 해야 할 국내 주식형 액티브 공모펀드는 설정액 규모가 5년 전 24조308억원에서 현재 13조8233억원으로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국내 주식시장이 2000~3000선 사이의 박스권을 맴돌면서 3년 수익률이 -8.42%에 그칠 정도로 성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액 자산가들은 사모펀드로 빠져나가고 일반투자자는 상장지수펀드(ETF)나 해외펀드로 자금을 옮기고 있다. 주식형 펀드가 위축되자 스타 펀드매니저들도 사모펀드나 ETF업계로 자리를 옮기면서 수익률이 더 하락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규제 완화도 중요하지만, 퇴직연금을 통해 장기 투자하면 비과세 혜택을 주는 등 파격적인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1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국내 전체 펀드 순자산액은 1052조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순자산총액 500조원을 달성하기까지 47년이 걸렸지만, 7년 만에 두 배인 1000조원을 넘어섰다.
펀드시장의 급성장은 사모펀드가 이끌었다. 사모펀드 규모는 10년 전 176조원에서 현재 635조원으로 260% 늘었다. 같은 기간 공모펀드 순자산은 198조원에서 417조원으로 1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공모와 사모의 비중은 2014년까지만 해도 5.3 대 4.7로 공모가 높았지만, 현재는 3.7 대 6.3으로 역전됐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기 때문에 메자닌, 선물옵션, 부동산 대체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하지만 서민에겐 ‘그림의 떡’이다. 전문투자자가 아닌 일반투자자가 사모펀드에 가입하려면 최소 3억원의 현금이 필요하고 판매사에 따라선 전문투자자가 아니면 아예 받지 않는다. 전문투자자가 되려면 최근 5년 중 1년 이상 월말 평균잔액 5000만원 이상, 금융투자상품 계좌 개설 1년 이상 등 까다로운 조건을 갖춰야 한다.
정작 국내 증시의 안전판 역할을 해야 할 국내 주식형 액티브 공모펀드는 설정액 규모가 5년 전 24조308억원에서 현재 13조8233억원으로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국내 주식시장이 2000~3000선 사이의 박스권을 맴돌면서 3년 수익률이 -8.42%에 그칠 정도로 성적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액 자산가들은 사모펀드로 빠져나가고 일반투자자는 상장지수펀드(ETF)나 해외펀드로 자금을 옮기고 있다. 주식형 펀드가 위축되자 스타 펀드매니저들도 사모펀드나 ETF업계로 자리를 옮기면서 수익률이 더 하락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규제 완화도 중요하지만, 퇴직연금을 통해 장기 투자하면 비과세 혜택을 주는 등 파격적인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