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위성으로 新시장 뚫은 나라스페이스 "5년내 100개 발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NASA, 저궤도 비행기술 인증
해상도 0.5m까지 사물 인식
해상도 0.5m까지 사물 인식

국내 초소형 인공위성 개발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19일 나라스페이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NASA로부터 저궤도 비행기술 인증(Qualified LEO)을 획득했다. 혹독한 우주 환경에서도 위성의 통신과 전기 계통, 자세제어 장치 등이 문제없이 작동한다는 NASA의 검증을 받은 것이다. 아시아 기업 가운데 최초다.
이 스타트업은 지난해 온보드컴퓨터 부문에서 NASA로부터 기술준비 최고 등급인 9단계(TRL-9)를 인증받기도 했다. 온보드컴퓨터는 위성의 두뇌 역할을 하는 장치로 각 부품에 명령을 내리고 제어한다.
내년 상반기 이 회사는 자체 개발한 두 번째 초소형 인공위성 옵서버1B를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어 발사할 계획이다. 지난해엔 가로·세로 20㎝, 높이 40㎝, 무게 25㎏의 옵서버1A(사진)를 팰컨9에 실어 발사했다. 지표면 사진을 찍어 분석하는 초소형 위성은 해상도가 성능의 바로미터다. 업계에선 1m 안팎의 해상도를 지녀야 유의미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나라스페이스는 인공지능(AI)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0.5m까지 지상 사물을 분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장강호 기자 callm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