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식품 물가 상승률 이 정도였나…OECD 35개국 중 3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2월 식료품·음료 물가상승률 7% 육박
OECD는 6.3→5.3% '뚝'
OECD는 6.3→5.3% '뚝'
식료품·음료 등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주요 선진국 평균 수준을 2년여만에 다시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의 식품 물가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잦아들면서 정상 궤도에 들어선 반면 우리는 과일·채소 중심으로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치인 5.32%를 웃돌았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가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 상승세는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파른 모습이다.
2월 기준 우리나라의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 심각한 가뭄 피해가 먹거리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하면서 2021년까지 5% 수준을 밑돌던 OECD 회원국의 평균 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2년 11월 16.19%까지 치솟았다.
다만 OECD 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9.52%) 10%를 하회한 데 이어 2월부터는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수준인 5%대로 떨어지는 등 빠르게 정상화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3.81%로 바닥을 찍은 뒤 지난해 10월 이후 다시 5∼7%대로 올라섰고 올해 2월에는 OECD를 추월했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는 사과·배 등 과일이 주로 견인하고 있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88.2% 올라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정부의 하반기 물가 안정 전망에도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 최근 이스라엘·이란 충돌 이후 불안한 국제유가가 소비자 물가를 압박하고 있고, 강달러 기조에 따른 고환율이 수입 원재료 가격까지 끌어올릴 우려에서다.
다만 정부는 하반기 물가가 하향 안정화하면서 올해 상승률이 2.6%로 수렴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기자들과 만나 "불안 요인이 많이 있고 여러 상황은 더 봐야 하겠지만 근원 물가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하반기 물가는 하향 안정화가 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
주요국의 식품 물가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잦아들면서 정상 궤도에 들어선 반면 우리는 과일·채소 중심으로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치인 5.32%를 웃돌았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가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 상승세는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파른 모습이다.
2월 기준 우리나라의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 심각한 가뭄 피해가 먹거리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하면서 2021년까지 5% 수준을 밑돌던 OECD 회원국의 평균 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2년 11월 16.19%까지 치솟았다.
다만 OECD 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9.52%) 10%를 하회한 데 이어 2월부터는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수준인 5%대로 떨어지는 등 빠르게 정상화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3.81%로 바닥을 찍은 뒤 지난해 10월 이후 다시 5∼7%대로 올라섰고 올해 2월에는 OECD를 추월했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는 사과·배 등 과일이 주로 견인하고 있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88.2% 올라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정부의 하반기 물가 안정 전망에도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 최근 이스라엘·이란 충돌 이후 불안한 국제유가가 소비자 물가를 압박하고 있고, 강달러 기조에 따른 고환율이 수입 원재료 가격까지 끌어올릴 우려에서다.
다만 정부는 하반기 물가가 하향 안정화하면서 올해 상승률이 2.6%로 수렴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기자들과 만나 "불안 요인이 많이 있고 여러 상황은 더 봐야 하겠지만 근원 물가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하반기 물가는 하향 안정화가 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