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부터 줄세워 의대 가는 나라에선 '판 바꾸는 혁신' 어렵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의사 출신 경제학자 김현철 홍콩과기대 교수
의사-타직종간 격차 너무 커
과도한 사교육 문제 등 초래
'똑똑한 문제아' 많이 나와야
의사-타직종간 격차 너무 커
과도한 사교육 문제 등 초래
'똑똑한 문제아' 많이 나와야

김현철 홍콩과학기술대 경제학과 교수(사진)는 최근 기자를 만나 이렇게 말했다. 그는 국내 유일한 의사 출신 경제학자다.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뒤 건강 불평등 같은 ‘사회의 질환’을 고치기 위해 경제학자로 직업을 바꿨다.
▷의대 증원이 필요하다는 정부와 필요 없다는 의료계 주장이 맞서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의사 수가 모자랄 가능성이 높다는 데 동의합니다. 의사 수가 10년 뒤 1만5000명 부족할 것이란 분석은 한국개발연구원(KDI) 보고서 등 여러 곳에서 나왔죠. 예측엔 한계가 있습니다. ‘10년 뒤 주가가 얼마가 될까’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죠. 1만5000명이 완벽한 수치는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
“건강한 격차는 필요하죠. 격차가 지나친 것은 문제입니다. 사교육에 투자해 의사가 됐을 때 누리는 이득이 지나치게 큽니다. 국내 소득 상위 0.1% 중 29%는 대기업 임원, 22%는 의사, 20%는 금융업 종사자입니다. 이들 중 정년 없이 일할 수 있는 직업은 의사뿐이죠. 의대에 가면 평균 4억원을 벌지만 다른 직종은 1억원도 못 법니다. 이런 사회가 공정한 사회일까요.”
▷대안은 무엇인가요.
▷실손보험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본인부담금을 50% 정도로 올리는 게 대안입니다. 공보험을 2단계나 3단계로 계층화하는 것도 방법이죠. 지금 건강보험은 모두 동일한 패키지입니다. 여기에 민간 실손보험을 얹은 구조이죠. 실손보험 대신 공보험을 얹는 구조를 고민해야 합니다. ”
“미국 경제가 잘나가는 것은 판을 바꾸는 기술 기업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 테슬라 등은 없던 것을 만들었죠. 선진국 중 꼴찌인 한국이 도약하려면 혁신이 필요합니다. 병원산업은 낙수효과와 국부 창출이 없습니다. 이런 분야로 최상위 인력이 가는 것은 국가적 낭비죠.”
▷‘똑똑한 문제아’가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이어지네요.
“혁신 기업은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에서 나옵니다. 상위 3% 정도만 혁신적 사고를 갖추고 있어도 됩니다. 한국은 영재고, 과학고 등에서 창의력을 키워주는 게 필요합니다.”
글=이지현/사진=이솔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