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중국發 '덤핑주의보'…희토류 가격 3년여만에 최저 [원자재 포커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NdPr 산화물 2022년 초 대비 63% 떨어져
美 “中 단일 국가의 가격 경쟁력 심히 우려”
희토류 가격이 3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희토류는 전기차, 풍력터빈, 전투기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영구 자석의 원료로 쓰인다. 흑연, 코발트, 니켈과 함께 중국이 또 다른 ‘전략 광물’시장을 독점해 가격을 통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데이터 제공업체 아거스를 인용해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산화물 가격이 지난 3월 약 3년 만에 최저치를 찍은 뒤 현재 t당 5만30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희토류의 일종인 NdPr 산화물 가격은 2022년 초 t당 18만달러 가까운 수준으로 치솟았지만, 그 이후 현재까지 63%가량 떨어졌다.
NdPr 산화물은 영구 자석의 필수 원료이며, 영구 자석은 전기차 구동 모터의 핵심 소재다. 전 세계적인 청정에너지 전환 물결과 함께 미국 등 주요국의 전략 광물로 떠오른 배경이다. 영국 희토류 채굴업체 레인보우레어어스의 조지 베넷 최고경영자(CEO)는 “희토류는 풍력 터빈,전기차 등 친환경 에너지 관련 제품뿐 아니라 드론, 스마트폰에도 필요한 원료”라며 “에너지 안보에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현재 영구 자석 시장은 최대 공급국이자, 동시에 최대 소비국인 중국이 지배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채굴되는 희토류의 70%가 중국에서 나온다. 처리 능력도 90%가 중국에 집중돼 있다. 중국은 희토류뿐 아니라 흑연, 코발트, 니켈 등 주요 전략 광물 시장을 독점하면서 가격 하락을 주도하고 있다. 2022년 초 t당 8만달러를 웃돌던 코발트 가격은 현재 t당 2만7000달러대로 주저앉은 상태다.
중국은 1980년대 이후 주기적으로 과세, 쿼터제,수출 제한 등 국가 정책을 통해 희토류 등 광물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시장에선 정부 자금을 등에 업은 중국 기업들의 물량 공세로 희토류 시장의 과잉 공급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업체들이 줄도산할 가능성을 우려한다. 이미 리튬, 코발트, 니켈, 흑연 등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의 가격이 폭락하면서 BHP, 앨버말, 글렌코어 등 서방 채굴 기업들이 줄줄이 광산 문을 닫고 감산에 나섰다. 아모스 호흐슈타인 백악관 에너지 안보 담당 선임고문은 “20세기 화석연료 시장에서 나타났던 것과 같은 최악의 상황이21세기에도 반복될 수 있다”며 “글로벌 공급량과 가격을 조작할 수 있는 단일 국가가 존재한다는 것은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이 덤핑 등을 통해 광물의 시장 가격을 통제한다는 주장에 대해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다. 중국 외교부는 “글로벌 공급망은 경제 법칙에 근거해 기능하고 있으며, 중국은 항상 개방과 조정, 공유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중요 광물 공급망의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美 “中 단일 국가의 가격 경쟁력 심히 우려”
희토류 가격이 3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희토류는 전기차, 풍력터빈, 전투기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영구 자석의 원료로 쓰인다. 흑연, 코발트, 니켈과 함께 중국이 또 다른 ‘전략 광물’시장을 독점해 가격을 통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데이터 제공업체 아거스를 인용해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산화물 가격이 지난 3월 약 3년 만에 최저치를 찍은 뒤 현재 t당 5만30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희토류의 일종인 NdPr 산화물 가격은 2022년 초 t당 18만달러 가까운 수준으로 치솟았지만, 그 이후 현재까지 63%가량 떨어졌다.
NdPr 산화물은 영구 자석의 필수 원료이며, 영구 자석은 전기차 구동 모터의 핵심 소재다. 전 세계적인 청정에너지 전환 물결과 함께 미국 등 주요국의 전략 광물로 떠오른 배경이다. 영국 희토류 채굴업체 레인보우레어어스의 조지 베넷 최고경영자(CEO)는 “희토류는 풍력 터빈,전기차 등 친환경 에너지 관련 제품뿐 아니라 드론, 스마트폰에도 필요한 원료”라며 “에너지 안보에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현재 영구 자석 시장은 최대 공급국이자, 동시에 최대 소비국인 중국이 지배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채굴되는 희토류의 70%가 중국에서 나온다. 처리 능력도 90%가 중국에 집중돼 있다. 중국은 희토류뿐 아니라 흑연, 코발트, 니켈 등 주요 전략 광물 시장을 독점하면서 가격 하락을 주도하고 있다. 2022년 초 t당 8만달러를 웃돌던 코발트 가격은 현재 t당 2만7000달러대로 주저앉은 상태다.
중국은 1980년대 이후 주기적으로 과세, 쿼터제,수출 제한 등 국가 정책을 통해 희토류 등 광물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시장에선 정부 자금을 등에 업은 중국 기업들의 물량 공세로 희토류 시장의 과잉 공급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업체들이 줄도산할 가능성을 우려한다. 이미 리튬, 코발트, 니켈, 흑연 등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의 가격이 폭락하면서 BHP, 앨버말, 글렌코어 등 서방 채굴 기업들이 줄줄이 광산 문을 닫고 감산에 나섰다. 아모스 호흐슈타인 백악관 에너지 안보 담당 선임고문은 “20세기 화석연료 시장에서 나타났던 것과 같은 최악의 상황이21세기에도 반복될 수 있다”며 “글로벌 공급량과 가격을 조작할 수 있는 단일 국가가 존재한다는 것은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이 덤핑 등을 통해 광물의 시장 가격을 통제한다는 주장에 대해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다. 중국 외교부는 “글로벌 공급망은 경제 법칙에 근거해 기능하고 있으며, 중국은 항상 개방과 조정, 공유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중요 광물 공급망의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