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2일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서울 인청 등 콜센터 네 곳을 차려놓고 수백 명에게 54억원을 가로챈 '스캠코인(가짜코인) 리딩방' 사기꾼 일단 37명을 검거했다. 이들은 과거 중고차 허위매물 사기를 함께 벌인 일당으로, 2022년부터 더 돈이 되는 스캠코인 사기로 '업종'을 바꿨다. 이들은 판매금의 20%를 주기로 약속하고, 20대 판매책을 대거 모았다. 경찰은 "조직원 전원이 20~30대로 MZ세대가 사기 집단을 구성한 사례"라며 "본인 명의 신용카드나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고, 콜센터 옆엔 차도 대지 못하게 하는 등 치밀한 행동 지침을 만들어 움직였다"고 설명했다.

'한탕주의'에 MZ 사기 역대급

이날 대검찰청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사기 고소장을 제출한 피해자는 22만1339명에 달한다. 2년 전인 2021년 대비 17%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다. 최근 2~3년 새 사기범죄의 주류로 급부상한 20대 사기범죄가 늘어난 게 결정적 요인이다. 2022년 전체 32만9358건의 사기범죄 가해자 중 20대(19~30세)는 26.9%로 1위를 차지했다. 2020년 이전에는 40대와 50대가 번갈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코로나19 이듬해부터 사기범죄의 주류가 20~30대로 바뀌었다.
 사진=최혁 기자
사진=최혁 기자
사기범의 연령대가 낮아지는 건 MZ세대 사이에 ‘한탕주의’ 경향이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불법 도박이나 코인 사기를 벌인 뒤 몇 년 징역을 살면 평생 땀 흘려 일하는 것보다 낫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는 것이다. 서찬석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저성장기에 접어들면서 젊은이가 노력해도 원하는 걸 얻지 못하는 게 한탕주의가 득세하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변화에 경찰도 조직폭력보다 조직 사기범죄로 단속의 무게추를 옮기고 있다. 부산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는 작년 12월 전국 9개 폭력조직에 소속된 20~30대 40명이 모여 벌인 투자리딩방 사기를 적발했다. 이들은 지난해 2월부터 10개월여간 주식, 암호화폐, 금, 해외선물 등에 투자해 고수익을 올려주겠다고 속여 총 410억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이들이 개설해 관리한 사이트만 32개로 웹사이트의 정교함과 ‘고객 관리’ 수준에 경찰도 혀를 내둘렀다. 경찰 관계자는 “고소득층을 포함한 피해자가 570명에 달했다”며 “조폭으로 구성된 일당이라고 믿기 힘들 정도”라고 했다.

경찰이 지난해 검거한 조폭(범죄단체조직) 3272명 가운데 10~30대 비중은 2073명으로 63%에 달했다. 여전히 폭력 사범이 1062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사행성 영업(585명), 갈취(286명), 불법 사채(98명) 등 금융 사기범죄와 연루된 사례도 적지 않았다.

숏폼·페북·유튜브 활용한 사기 기승

MZ세대의 사기범죄 급증에는 진화한 정보기술(IT)과 플랫폼의 등장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SNS, ‘숏폼’(짧은 영상)을 통해 범죄 수법을 배우고, 주식투자 리딩방과 불법 도박사이트 활용 및 코인 지갑 만드는 일에도 밝아 이른바 ‘사이버 사기’ 행각을 벌이기가 한결 수월해졌다.

인기 개그맨이 포함된 외제차 리스 사기, 스포츠 스타를 내세운 대체불가능토큰(NFT) 사기 등 유명인 사기도 늘고 있다. 지난해 8월 100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유튜버 유모씨(30)가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된 지인들로부터 113억원을 가로채 도박자금으로 사용한 사건이 벌어져 충격을 주기도 했다. 일부 피해액을 돌려준 그는 징역 2년6개월의 솜방망이 처벌을 받았다.

경찰은 트렌드에 따라 급진화하는 사기 범죄를 따라가기가 버겁다고 토로했다. 메타버스 부동산 투자, NFT 조각 투자, 코인 선물 FX마진거래 등의 신종 사기가 IT의 발달과 함께 등장하다 보니 전통적인 방식으론 수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올초 발생한 100억원대 메타버스 부동산 사기 사건을 수사하는 강남경찰서 관계자는 “가상 토지라는 새로운 개념의 사기 사건이다 보니 범죄 혐의점을 특정하는 게 쉽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김현수 경찰청 경제범죄수사계장은 “통신과 금융이 발달하면서 신종 사기가 진화하고 검거도 어려워지는 건 세계적인 트렌드”라며 “사기 발생 이전 단계에서부터 차단, 방지하는 예방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철오/정희원/권용훈 기자 che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