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닝 서프라이즈' 삼성물산…"안정적 이익 증가는 밸류업의 기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 영업이익 7123억원…컨센서스 9.2% 웃돌아
계절적 비수기인 레저 제외하고 모든 부문이 고른 호실적
계절적 비수기인 레저 제외하고 모든 부문이 고른 호실적
삼성물산이 기대 이상의 1분기 실적을 내놓으면서 25일 증권가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사업부가 고루 좋은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최근 주가도 주주환원 강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한 상태다.
삼성물산은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0조7958억원, 영업이익 7123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4%와 11.2% 늘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9.3% 증가한 8221억원을 남겼다.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9%가량 웃돌았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건설 부문의 강세와 바이오 부문의 고성장을 통해 이익 체력이 한 단계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삼성물산의 걸설부문은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건설을 맡으면서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식음료 부문은 식자재 유통 매출 확대 덕에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10% 늘어난 320억원을 기록했다. 상사부문은 구리 가격 상승 효과 및 미국 태양광 발전소 매각으로 수익성을 유지했으며, 패선 부문은 소비 둔화 우려에도 수입상품 호조와 온라인 강화에 따라 실적이 유지됐다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호실적은 주주환원 기대감을 높였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본업의 안정적인 이익 증가는 투자자들에게 환원할 배당 여력을 높인다”며 “밸류업 정책의 기초는 안정적인 실적 달성”이라고 말했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물산이 당장은 주주환원보다 성장에 방점을 찍었다고 판단한다. 그는 “높아진 주주환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보유 자사주 소각 기간을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앞당겼지만, 이를 제외하곤 사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신사업 투자에 좀 더 방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성장에 방점을 찍은 데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삼성물산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16만원에서 18만원으로 올렸다. 은 연구원은 “회사 측은 향후 밸류업 가이드라인이 구체화되는 시점에 관련 내용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차기 3개년 주주환원정책이 발표되는 2026년 이후에나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삼성물산은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0조7958억원, 영업이익 7123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4%와 11.2% 늘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9.3% 증가한 8221억원을 남겼다.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9%가량 웃돌았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건설 부문의 강세와 바이오 부문의 고성장을 통해 이익 체력이 한 단계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삼성물산의 걸설부문은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건설을 맡으면서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식음료 부문은 식자재 유통 매출 확대 덕에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10% 늘어난 320억원을 기록했다. 상사부문은 구리 가격 상승 효과 및 미국 태양광 발전소 매각으로 수익성을 유지했으며, 패선 부문은 소비 둔화 우려에도 수입상품 호조와 온라인 강화에 따라 실적이 유지됐다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호실적은 주주환원 기대감을 높였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본업의 안정적인 이익 증가는 투자자들에게 환원할 배당 여력을 높인다”며 “밸류업 정책의 기초는 안정적인 실적 달성”이라고 말했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물산이 당장은 주주환원보다 성장에 방점을 찍었다고 판단한다. 그는 “높아진 주주환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보유 자사주 소각 기간을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앞당겼지만, 이를 제외하곤 사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신사업 투자에 좀 더 방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성장에 방점을 찍은 데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삼성물산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16만원에서 18만원으로 올렸다. 은 연구원은 “회사 측은 향후 밸류업 가이드라인이 구체화되는 시점에 관련 내용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차기 3개년 주주환원정책이 발표되는 2026년 이후에나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