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깜짝성장, 美는 쇼크…'통화정책 타이밍' 머리 싸맨 韓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각종 거시지표 예상과 달라 당혹
불확실성에 유가 등 돌발변수도
내달 '수정 경제전망' 공개 부담
불확실성에 유가 등 돌발변수도
내달 '수정 경제전망' 공개 부담

26일 한은(총재 이창용·사진)에 따르면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달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어 기준금리 변경 여부 등을 논의한다. 회의 직후엔 성장과 물가 전망 등을 담은 ‘수정 경제전망’을 공개한다. 이날 통화한 한은 관계자는 “최근 국내외 거시 경제 지표들이 예상과 다르게 나오는 상황에 예측하지 못한 사건이 잇따라 터져나와 당혹스럽다”며 “통화신용정책 수립이 그 어느 때보다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한 나라의 경기(고용)는 물가와 함께 금리정책을 결정하는 데 가장 큰 변수로 간주된다. 경기 전망이 불확실하면 통화정책을 선제적으로 수립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경제와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돌발 변수도 잇따르고 있다. 한은은 하반기 통화정책을 좌우할 가장 큰 변수 중 하나로 유가를 꼽는다. 연말 연초 안정세를 보이던 국제 유가는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면전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서부텍사스원유(WTI) 기준 배럴당 80달러를 웃돌고 있다. 이런 유가가 지속되면 한은이 연말 목표로 하는 2%대 초반의 물가는 기대할 수 없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