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타 3수생' 6G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이번엔 통과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테크 딥다이브
국방·안보와 UAM 필수 인프라
4800억 규모…추진 여부 곧 결정
국방·안보와 UAM 필수 인프라
4800억 규모…추진 여부 곧 결정
!['예타 3수생' 6G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이번엔 통과할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552890.1.jpg)
28일 정보통신기술(ICT), 방위산업 업계 등에 따르면 4800억원 규모 저궤도 6G 위성통신 개발 사업의 예타 조사 결과가 금명간 나올 예정이다. 2030년까지 6G 통신 전용위성 4기를 발사하는 내용이다. 그동안 한국은 저궤도 통신 위성을 발사한 적이 한 번도 없다. 이 사업은 국방·안보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인프라지만 그동안 예타 조사에서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두 차례 탈락했다.
!['예타 3수생' 6G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이번엔 통과할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554226.1.jpg)
6G 주파수는 어퍼-미드 대역으로 불리는 7~24기가헤르츠(㎓)와 100㎓ 이상 서브테라헤르츠파 영역을 동시에 활용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이 표준 주파수 대역을 2028년께 확정하면 6G 상용화는 2029~2030년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예타 조사의 위성 발사 시점은 이런 일정에 맞게 정했다.
UAM 교통 관제와 상용 서비스를 위해서도 6G 위성이 필요하다. 6G의 이상적 속도는 다운로드 기준 100~200Gbps(초당 기가비트)다. 현재 상용 5G 속도(1Gbps)의 100~200배다. 이 정도 속도는 돼야 지연시간 없이 수백~수천 대의 UAM을 안전하게 동시 운행해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이런 속도를 구현하는 건 물론 지상의 전자·통신 기술이다. 삼성전자 등이 개발 중인 극대용량 다중 입출력 안테나(e-MiMO) 등이다. 그러나 위성군이 지상 인프라와 교신하며 음영 지역을 보완해야 이런 기술이 완성된다.
군도 이번 예타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지상 통신망이 소실되기 일쑤인 전장에서 드론 운용, 지휘·통제 등 원활한 작전 수행을 위해 6G 위성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LIG넥스원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시스템, AP위성, RFHIC 등 주요 방위산업 관련 상장 기업들이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예타 조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기획재정부가 논의해 통과 여부를 결정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에도 통과되지 못한다면 한국의 미래 안보와 신산업은 없다고 본다”며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